|
|
|
 |
설계사무소 재직-공공건축 및 교육시설 설계 경력 중심]
공공기관 및 대학 캠퍼스 설계 프로젝트의 초기 계획안 수립
건축설계도면 작성 및 BIM 기반 설계 협업
사용자 행동기반 공간 재배치 설계
|
|
|
 |
대학 행정, 특히 건축 관련 직무는 단순히 시설을 관리하는 수준을 넘어, 교육과 연구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POSTECH과 같은 첨단 연구 중심대학에서는 실험실, 공용공간, 강의실, 생활공간 모두가 하나의 유기적인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 건축직의 역할은 '건축가'가 아닌 '건축행정가 '로서 기능해야 한다고 봅니다.
저는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통해 공공건축의 설계와 시공, 유지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았으며, 특히 건축계획, 건축설비, 시공관리 과목에서 실무중심의 접근법을 학습해왔습니다.
또한 졸업 후 근무한 설계사무소에서는 대학교의 강의동 및 연구시설 설계에 직접 참여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공간효율성을 함께 고려한 계획을 실현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POSTECH의 고유한 연구/교육환경을 이해하고, 그에 부합하는 공간을 설계하고 개선하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이라고 생각합니다.
설계사무소 재직 당시, 국립대학 내 생활관 개보수 설계 프로젝트를 담당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 사례는 단순히 주어진 지시사항을 따르기보다, 사용자 중심 사고를 바탕으로 현실적인 개선안을 제안하고 관철시킨 경험이었고, 협업 과정에서는 설비, 구조, 예산 파트와의 조율 능력도 키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설계사무소 재직-공공건축 및 교육시설 설계 경력 중심]
건축설계도면 작성 및 BIM 기반 설계 협업
지방자치단체 청소년문화센터 신축 설계 |
 |
설계, 건축, 공간, 경험, 중심, 이다, 대학, 되어다, postech, 계획, 연구, 본인, 단순하다, 교육, 사용자, 개선, 생활, 행정, 제안, 생각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