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대학 행정의 역할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서술하고, POSTECH에 지원한 직무 관련 본인의 전문성 및 강점을 기술해 주십시오(1000자)
저는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 기획 및 운영 역량을 갖춘 전산개발자로서, POSTECH의 교육·행정혁신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직무: 정보시스템 운영 및 개선개발
해당 경험을 통해, 단순 개발 기술 외에도 사용자의 실제 사용 행태, 조직구조, 법적 규제 등을 고려한 '공공전산환경'에서의 시스템 개선과 문제 해결 역량을 갖추었습니다.
단순 개발이 아니라, 사용자 경험과 행정 흐름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속가능하고 직관적인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
|
|
 |
대학 행정은 교육과 연구를 위한 '보이지 않는 기술인프라'이자, 구성원 전체의 학습·연구 경험을 지원하는 시스템적 허브라고 생각합니다.
학부 시절 컴퓨터공학을 전공하며 Java, Python기반의 웹 개발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했으며, 이후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개편 TF에 실무자로 참여해 Angul ar와 Spring 기반의 전자결재 모듈을 개선한 경험이 있습니다.
POSTECH의 전산개발자로서, 교육·연구·행정의 흐름을 이해하고 구성원 중심의 UX를 반영한 시스템을 설계하는 '실행력 있는 실무자'가 되고자 합니다.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운영 중, 전자문서시스템의 승인경로 설정 오류로 인해 문서가 누락되거나 승인 지연이 발생하는 일이 반복되었습니다.
개선안은 승인자 ID 대신 부서-직책 기준 조건분기로 직을 기반으로 재구성되었고, 특히 모바일 승인 사용자 증가에 맞춰 알림 연동도 보강했습니다.
해당 경험을 통해, 단순 개발 기술 외에도 사용자의 실제 사용 행태, 조직구조, 법적 규제 등을 고려한 '공공전산환경'에서의 시스템 개선과 문제 해결 역량을 갖추었습니다.
복잡한 행정구조 속에서도 '직관적인 흐름을 만드는 시스템 개발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POSTECH에서 전산 개발자가 가지는 가장 중요한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단순 개발이 아니라, 사용자 경험과 행정 흐름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속가능하고 직관적인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복잡한 행정절차 속에서도 사용자가 빠르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실수나 혼란을 줄이는 것이 궁극적으로 행정의 효율성과 만족도를 높이기 때문입니다. |
 |
시스템, 경험, 사용자, 기술, 본인, 개선, 전산, 시오, 행정, 승인, 업무, 점, 기반, 개발, 개발자, 대학, 흐름, 조직, 되어다, postech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