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세 과목을 통해 기능 구현 능력, 프레임워크 이해도, 사용자 중심 사고라는 세축을 균형 있게 다질 수 있었다.
LG유플러스의 Front-end 개발자로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역량은 무엇인가요?
실제로 저는 UX/UI 이론 수업을 통해 사용자 흐름을 분석하고, 프로젝트에서는 피드백 기반의 리디자인을 경험했습니다.
팀 프로젝트에서 맡았던 역할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무엇인가요?
저 또한 단순히 기능 구현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개발자로 성장하고자 하기에, 그 방향성이 잘 부합한다고 생각합니다.
|
|
|
 |
그 중 첫 번째는 '웹프로그래밍' 과목으로, HTML5와 CSS3의 기본기를 익히는 동시에 JavaS cript를 통해 동적인 웹구현을 배우는 계기가 되었다.
세 번째는 'UX/UI 디자인 이론'으로, 사용자 중심의 화면 설계와 정보구조화를 배우는 데 큰 도움을 준 과목이다.
이 과목을 통해 기능뿐 아니라 '사용자 입장' 에서 웹을 바라보는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
세 과목을 통해 기능 구현 능력, 프레임워크 이해도, 사용자 중심 사고라는 세축을 균형 있게 다질 수 있었다.
당시 팀의 목표는 '대학생들을 위한 지역 기반 중고거래 플랫폼'을 구현하는 것이었고, 나는 이 프로젝트를 실질적인 서비스로 배포하는 것을 개인적인 목표로 삼았다.
목표를 단순히 혼자 이루는 것이 아닌, 팀 전체가 공동의 성취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고 동기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서 진행된 '대학생 시간 표 기반 스터디 매칭 플랫폼' 개발 프로젝트는 나에게 있어 가장 도전적인 협업 경험이었다.
초반에는 각 파트간 업무의 경계가 불분명해 의사소통 오류가 잦았고, 특히 API 스펙에 대한 명확한 정의 없이 각자 개발을 진행한 탓에 프론트-백간 통신과정에서 크고 작은 충돌이 끊이지 않았다.
실제로 저는 UX/UI 이론 수업을 통해 사용자 흐름을 분석하고, 프로젝트에서는 피드백 기반의 리디자인을 경험했습니다.
본인의 성장 방향성과 LG유플러스의 기술비전이 어떻게 맞닿아 있다고 생각하나요?
저 또한 단순히 기능 구현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개발자로 성장하고자 하기에, 그 방향성이 잘 부합한다고 생각합니다. |
 |
프로젝트, 사용자, 팀, 구현, 활용, 개발, 경험, 개발자, 통해, 과목, 구조, 과정, 이다, 디자인, 기반, 기술, 기능, 설계, 프론트, ui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