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저는 KINX의 네트워크 운영 및 확장 전략 속에서 실무와 구조를 함께 다룰 수 있는 엔지니어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네트워크 엔지니어에게 가장 필요한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예를 들어, 실습 중 FTP 지연 현상에 대해 MTU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한 경험처럼요.
KINX에서 어떤 엔지니어로 성장하고 싶나요?
단순한 설정관리자나 기술지원 인력을 넘어서, 트래픽 흐름과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엔지니어가 되고 싶습니다.
|
|
|
 |
이처럼 이론-실습-현장 프로젝트를 고르게 경험하며, KINX네트워크 인프라 환경에서 필요한 기초체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단순한 네트워크 장애나 속도 저하 현상도 단말, OS, 응용계층, 네트워크 장비 등 다양한 요인 중 어디에서 발생하는지 논리적으로 파악하고, 대응방법을 설계해보는 것을 좋아합니다.
이러한 분석력은 복잡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정확한 원인 진단과 신속한 대응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IX, CDN, 클라우드 등 인터넷 전반을 연결하는 구조적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단순 기술지원을 넘어선 인프라 설계와 운영의 중심 이 된다는 점이 저에게 강한 동기를 부여했습니다.
더불어 KINX는 PoP 구축, 전용회선, 클라우드 연동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해 가고 있고, 이는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단순 유지보수를 넘어 전략적인프라 설계자로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의미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KINX의 네트워크 운영 및 확장 전략 속에서 실무와 구조를 함께 다룰 수 있는 엔지니어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교내 실습 중 트래픽 분산 테스트를 진행하며 DNS 기반의 부하 분산 설정이 특정 시간대에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발견했고, 이를 RTT 기반의 헬스 체크 시스템으로 개선해보는 실험을 직접 설계한 적이 있습니다.
네트워크 기술 중 가장 자신 있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KINX의 IX 인프라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나요?
네트워크 장비 중 어떤 벤더를 다뤄본 경험이 있나요? |
 |
설정, 실습, 네트워크, 장애, 트래픽, 구조, 수행, 이다, kinx, 중, 설계, 기반, 해보다, 단순하다, 싶다, 인프라, 현장, 경험, 엔지니어, 발생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