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특히 TSP 총괄은 기술과 생산을 실시간으로 연결하는 장비 기반 통합관리 플랫폼의 중심에 있으며, 설비기술엔지니어는 장비 도입부터 평가, 개선, 유지보수까지 전 공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합니다.
설비 기술엔지니어는 단순 유지보수 역할을 넘어서, 설계기반의 문제 해결과 제어 최적화 능력을 함께 요구받습니다.
이처럼 저는 공정과 장비의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결과를 설비 개선으로 연결하는 기술적 감각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
|
 |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실험의 반복이 아닌, 설계 단계부터 문제를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제어시스템을 포함한 종합적 개선을 수행한 경험으로 남아있습니다.
설비 기술엔지니어는 단순 유지보수 역할을 넘어서, 설계기반의 문제 해결과 제어 최적화 능력을 함께 요구받습니다.
EUV 장비는 기본적으로 고진공 챔버 내에서 미러 반사를 반복하여 노광하는 구조이며, 오염방지, 냉각시스템의 정밀제어, 라이너 정렬기술, 마스크 클리닝 기술 등 설비기술의 복잡성이 극대화된 장비입니다.
특히 플라즈마 생성모듈과 유틸리티 공급장치 간의 연동 문제, 센서 피드백 속도, 진동제어 등 수많은 하위시스템들이 있어, 전체가동률 확보를 위해 설비기술자의 역할이 필수적입니다.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EUV를 DRAM 양산에 적용한 회사이며, 동시에 EUV 장비의 내재화된 운영 프로토콜, 가동률 향상 알고리즘, 정밀진단시스템 등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만큼, 관련 설비기술엔지니어의 기술력도 매우 높다고 판단됩니다.
설비 기술 직무에서 가장 필요한 기술역량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계/전기/화학시스템에 대한 다학제적 이해, 둘째는 데이터 기반의 설비 상태 진단 및 분석능력, 셋째는 문제 발생 시 현장 상황을 조율하고 개선안을 설계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입니다. |
 |
장비, 설비, 기술, 시스템, 설계, 데이터, 제어, 기반, 운영, 문제, 센서, 공정, 개선, 싶다, 분석, 프로젝트, 반도체, 이다, 진단, 유지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