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북한사회이해_탈북자-사회문제,사회이슈,원인및해결책 |  
        |  |  
        |  |  
        |  |  
        | 탈북자에 대한 이해와 남한 내 탈북자의 현실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 목차
 서론
 탈북자의 정의와 현황
 탈북자가 말하는 북한의 모습
 탈북의 원인
 -경제적 이유
 -사회, 정치적 이유
 탈북자들의 남한 사회 정착 실태
 남한 탈북자 문제와 해결방안
 결론 및 요약
 1. 서론
 최근 탈북자 증가의 원인과 그로인한 남한 적응문제에 관하여
 북한군 노크귀순과 탈북자 북송문제 등 최근 탈북 관련사건의 증가
 각종 통계자료와 탈북자 서적, 탈북자 인터뷰자료, 통일부 자료를 참고하여
 2. 탈북자의 정의와 현황 : 탈북자의 정의
 북한이탈주민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이탈한 주민을 말함.
 흔히 ‘탈북자(脫北者)’ 또는‘새터민’이라고 부름.
 
 [탈북자 지칭 용어 변천]
 1993년 이전: 귀순자(歸順者), 귀순용사(歸順勇士)
 1994년 ~ 1996년: 탈북자(고난의 행군)
 1997년 ~ 2004년: 탈북자, 북한이탈주민
 2005년 ~ 2008년: 새터민, 북한이탈주민
 2008년 ~: 탈북자, 북한이탈주민
 
 출처: 탈북자와 함께하는 통일(한울 아카데미)
 2. 탈북자의 정의와 현황 : 탈북자 현황
 2011년 기준
 남한입국 탈북자 누계 2만3천명 돌파
 
 탈북자 연령
 30대(32%), 20대(27%)가 다수를 차지
 
 탈북자 학력
 고등중(중고등학교)졸업이 70%로 절대적
 
 북한에서의 직업
 무직(47%), 노동자(41%)가 대다수 차지
 *무직의 경우 가사노동과 학생 등이 포함
 출처: 통일부(統一部, Ministry of Unification)
 2. 탈북자의 정의와 현황 : 탈북자의 탈북과정 및 관련자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