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법-고대인들의 삶의 시작 1. 역법이란 무엇인가
 - 역법의 뜻, 중요성
 - 몇 가지 의문점
 2. 고대의 역과 오늘날
 - 태양력, 태음력, 태양태음력
 3. 시헌력의 논란
 - 논란의 이유
 - 찬/반 의견들
 4. 우리조의 결론
 5. 참고문헌
 구성
 천체의 주기적 운행을 이용해 연, 월, 일의 3가지 구성요소를 결합시키는 방법
 천체운동인 지구 자전주기 공전주기, 달의 삭망주기는 매우 규칙적이고 관측이 편함. ⇒ 역법의 종류가 갈림.
 역서 : 일정 역법(연, 월, 일)에 따라 세 주기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적어 놓은 것.
 1. 역법이란 무엇인가
 1) 1주를 왜 7일로 잡았을까
 - 우리나라는 5일 간격의 장이 섰고 매월 같은 날에 행해짐. → 5일주
 - 하지만 지금은 7일주가 사용된다.
 - 서양의 역사에서는 매우 오래 전부터 특히 기독교에 의해서 정해짐.
 - 중국 : 인도의 불교, 천문학 의해 전래되어서 명나라 때 기록에 보면 전해짐.
 - 한국 : 7일주 직접적 들어온 것은 17c 초 천주교 의해서 들어온 이후.
 1. 역법이란 무엇인가
 2) 60갑자란
 - 10간 :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 12지 :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
 - 10간과 12지의 결합에 의해 만들어짐.
 - 중국 : 아주 일찍, 갑골문자를 보면 은 이전부터 사용된 걸로 예상.
 - 한국 : 실록에 보면 매일의 역일 대신 일진으로 사용됨.
 - 일진과 양력일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
 - 간지 기년법  60년 후 같은 갑자를 가짐.
 1. 역법이란 무엇인가
 1. 역법이란 무엇인가
 3) 시법이란
 - 하루를 분할하는 방법, 매우 다양함.
 - 현재 하루의 시작 : 야반
 - 12진법, 24진법, 60진법으로 매우 다양.
 - 부정시법 : 계절, 밤낮 따라 시,분,초 변화
 - 우리나라도 부정시법을 사용했었다.
 (ex 경점법  계절 관계없이 일출 전과 일몰 후의 박명 시각 제외한 나머지 밤 시간을 5등분 하여서 5경으로 각 경을 5점으로 세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