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한국의 정과 한 |  
        |  |  
        |  |  
        |  |  
        | 한국의 정과 한 목차
 들어가며
 정 문화와 한 문화
 정 문화
 두레, 품앗이, 향약, 계
 찌개문화
 덤 문화
 한문화
 탈놀이
 아리랑
 나오면서
 한국 정서를 대표 하는 한과 정
 情 문화와 恨 문화
 한국을 대표하는 정서, 정과 한
 상대방을 위하는 정
 서러움이 깃든 한
 따뜻한 情 문화
 서로 직접 돕는 전통 문화
 향약
 두레
 품앗이
 계
 
 정을 느낄 수 있는 문화
 찌개문화
 덤 문화
 다 같이 일하는 두레
 두레란
 많은 노동력이 필요한 일
 
 마을 사람들 순서대로
 
 대표적 예 밭 갈기, 모내기
 두레
 노동으로 갚는 품앗이
 품앗이란
 
 비교적 단순한 협동 노동
 
 돈이 아닌 노동으로 갚음
 
 경제 문제를 돕는 계
 
 계는 무엇인가
 
 예부터 전해오는 민간협동체
 
 경제적인 도움
 
 친목 도모
 
 상부상조의 질서, 향약
 
 향약이란
 
 조선시대 사회의 자치규약
 
 다른 상부상조 문화의 질서
 상부상조하는 문화
 줄어드는 정 문화
 
 줄어드는 품앗이, 두레, 계
 
 정이 사라지고 변질됨
 같이 먹는 찌개 문화
 다른 나라에서 보기 힘든 문화
 한 그릇에 먹는 문화
 찌개 문화라고 부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