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사회복지학] 유아복과 신소재 - 발표과제 |  
        |  |  
        |  |  
        |  |  
        | 유아복과 신소재 목차
 유아기란
 유아복의 소재
 유아복의 형태
 각 부분에 요구되는 의복형태
 유아복의 종류
 유아복에 사용되고 있는 신소재
 
 유아기란
 [BABY]
 
 출생~1세까지
 
 [TODDLER]
 
 18개월~6,7세
 유아복의 소재
 
 [BABY]
 
 *가볍고 부드럽다.
 
 *체온조절이 쉽다.
 
 *흡습성이 풍부하다.
 
 *내 세탁성이 좋다.
 
 *가공 처리가
 되어 있지 않다.
 “면직물”
 유아복의 소재
 
 [TODDLER]
 
 * 흡습성이 좋다.
 
 *내 세탁성이 좋다.
 
 * “활동성”이 좋다.
 
 “면직물”
 “혼방소재”
 “합섬소재”
 BABY-유아복의 형태
 입고 벗기기가 용이 해야 한다. (어깨 선에 트임 처리, 앞 트임 등의 사용)
 기저귀 사용을 고려한다.
 여유 분을 남겨 둔다.
 시접처리는 쌈솔로 처리.
 연한 색상을 사용한다.
 TODDLER-유아복의 형태
 
 
 동작에 방해되지 않아야 한다. (적당한 여유분과 길이)
 
 소변을 쉽게 볼수 있어야 한다.
 각 부분에 요구되는 의복형태
 [길이]
 신체성장에 맞추어 늘려 입을
 수 있어야 한다.
 [둘레]
 신축성이 큰 소재를 사용한다.
 (주름이나 개더 이용)
 [트임]
 트임은 앞으로 하며
 충분히 길게 한다.
 각 부분에 요구되는 의복형태
 [여밈]
 지퍼가 가장 쉬우며
 단추는 큰 것을 사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