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화하는 사회와 가족가치’ 『발제2』관련지표에 반영된
 한국 가족의 현실과 대안1960~2000
 2.관련지표 속의 한국가족
 [변화하는 사회와 가족]
 2
 -발제 순서-
 15세 이상 인구의 혼인 상태별 구성비 추이
 평균 초혼 연령의 변화
 조혼인율, 조이혼율
 성별 재혼건수 및 재혼비율의 변화추이
 여성의 출산과 사망
 혼인형태별 혼인구성비
 취업 모(母)의 아동양육의 어려움
 자녀가 있는 여성의 미취업 사유
 모성보호급여 실시현황
 맞벌이가구와 비맞벌이가구의 평균 생활시간
 노부모 부양에 대한 견해
 한부모 가구비율
 호주제와 새 신분기록부의 비교
 [변화하는 사회와 가족]
 3
 1. 15세 이상 인구의 혼인 상태 별 구성비 추이, 1925-2000
 [변화하는 사회와 가족]
 4
 [표1] 15세 이상 인구의 혼인 상태별 구성비 추이, 1925-2000
 (단위: 천명, %)
 주: 1) 1955년 이전 수치는 남북한 합한 수치임
 2) 1940년 자료는 비교 기준이 산업별, 혼인 상태별로 다른 연도와 달라 제시하지 않았음
 자료: 변화순 (2002 227), 재인용
 [변화하는 사회와 가족]
 5
 [도표1] 15세 이상 인구의 구성비 추이, 1925-2000
 [도표2]15세 이상 여성인구의 혼인 상태 별 구성비 추이, 1925-2000
 [도표3] 15세 이상 남성인구의 혼인 상태별 구성비 추이, 1925-2000
 2. 평균 초혼 연령의 변화
 [변화하는 사회와 가족]
 9
 [도표4]평균 초혼 연령의 변화
 자료: 통계청, 「인구동태통계연보(혼인, 이혼편)」각년도 통계자료 ☞ 102 쪽
 3. 조혼인율, 조이혼율, 1981-2003
 [변화하는 사회와 가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