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다산 정약용 |  
        |  |  
        |  |  
        |  |  
        | 차례 Ⅰ다산 정약용의 생애
 Ⅱ다산의 사상 및 저서
 Ⅲ다산학과 실학
 Ⅳ미디어에서 바라본 다산
 Ⅴ21세기에서 생각하는 다산
 Ⅰ다산 정약용의 생애
 다산 정약용의 생애
 조선 후기 학자 겸 문신.
 사실적이며 애국적인 많은 작품을 남겼고, 한국의 역사 · 지리 등에도 특별한 관심을 보여 주체적 사관을 제시했으며, 합리주의적 과학 정신은 서학을 통해 서양의 과학 지식을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주요 저서는《목민심서》,《경세유표》등이 있다.
 정약용
 (1762~1836)
 》 조선 후기 (영조 - 정조 - 순종 - 헌종)
 임진왜란(1592-1598)
 병자호란(1636-1637)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해 가는 사회 현상이 도처에서 나타나고 있던 역사적 전환기
 많은 땅이 황폐화  식량 생산 감소
 당시의 유학자들  이론, 학설만 따지며 백성들의 어려운 처지 외면
 ▶ 백성들이 잘 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드는 학문을 연구하자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나타남
 
 ▶ 청나라에서 들어온 고증학과 서양의 과학적 사고 방식을 받아들여
 새로운 학풍으로 일어남 ] 실학
 
 ▶ 실학자들은 학문은 나라를 부강하게 하는 데에 도움을 줘야 하고,
 백성들의 실생활에서의 쓰임과 생활을 풍족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함
 출생과 가족관계
 1762년(조선 후기) 한강변 마현마을에서 출생
 
 아명은 귀농/ 자는 미용, 송보 / 호는 다산 / 당호는 여유당
 
 정약용의 친가 - 8대 연속 홍문관 학사를 배출한 적이 있는 집안
 정약용의 외가 - 학문과 예술의 집안
 
 
 형제들은 학문적 재주가 있어 실학과 서학(천주교)에
 일찍 눈을 떴으나 꽉 막힌 시대와 당쟁에 희생되고 말았음
 성장기/청년기
 벼슬시절
 유배시절
 말년
 1777년, 자신의 학문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 스승을 만나게 됨
 (실학의 선구자 성호 이익)
 
 다산은 22세(1783)에 성균관에 들어감
 ▷ 뛰어난 재능과 학문으로 정조의 눈에 띄어 총애를
 받기 시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