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계획(family planning) 피임(contraception)
 가족계획(family planning)
 [의미]: 알맞은 수의 자녀를 알맞은 터울로 알맞은 시기에 낳아 잘 양육함으로써 개인, 가정의 행복과 생활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며, 광의로는 불임증치료, 성교육, 임신, 분만지도 및 육아지도까지를 포함한다.
 
 비계획적인 출산은 사회경제적, 신체적, 정서적으로 많은 문제 초래 부부의 건강, 가정의 경제력, 부모로서의 책임을 다할 수 있는 양육 능력을 고려하여 자녀수, 터울, 단산시기 등을 계획하여야 한다.
 피임(contraception)
 1. 피임법의 이론(contraception theory)
 : 임신되어 착상되는 과정을 방해하는 타당한 이론. 수태조절을 위한 피임방법이란 임신의 4단계중 어느 한 단계만을 방해하며 피임효과를 얻는 것을 말한다
 피임법의 이론- 임신의 과정
 피임법의 이론 임신과정에 대한 피임수단
 제1단계: 성세포의 생산
 성세포의 생산을 억제하는 법
 고환이나 난소의 제거
 
 제2단계: 수정부위까지 성세포 수송
 여성의 배란을 억제
 피임약복용
 영구적피임법
 
 제 3단계: 수정
 수정저지작용
 자연피임법
 콘돔
 살정제
 
 제4단계: 수정란의 자궁내 운반과 착상
 착상저지작용
 자궁내기구장치
 피임법의 이상적조건
 피임효과가 확실해야 한다
 인체에 무해하여야 한다
 사용방법이 간편해야 한다
 비용이 적게 들어야 한다
 부부가 서로 합의하고 선호하는 방법이어야 한다
 # 피임방법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교육정도, 결혼기간, 출산경험, 소득수준, 사회문화적 신념 등
 피임방법
 1. Nonhormonal contraception(비호르몬적 피임법)
 자연피임법
 콘돔
 차단방법
 질살정제
 자궁내장치
 2. Hormonal contraception(호르몬적 피임법)
 먹는 피임약
 호르몬 주사
 임플란트
 Nonhormonal Method Coitus Interruptus(질외사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