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본 자료는 대금지급시기별 무역결제방식에 대해 소개한 자료로 송금 및 추심 그리고 신용장 방식을 선지급, 동시지급, 후지급으로 분류하여 각각에 대해 절차별 프로세스를 상세하게 도해하였음. 특히, 각 결제방식별 핵심적 내용을 간단명료하게 서술하였으며, 무역결제 방식에 따른 은행명칭과 송금, 추심, 신용장 방식의 비교, 송금 및 추심결제방식의 실무적 특성 등에 대해 서술하였음 |  
        |  |  
        |  |  
        |  |  
        | 1. 대금지급시기별 무역결제방식 2. 무역결제 방식에 따른 은행명칭
 3. 무역결제 방식의 비교
 4. 송금방식(선지급)
 5. 송금방식(동시지급)
 6. 송금방식(후지급)
 7. 추심방식(동시지급)
 8. 추심방식(후지급)
 9. 신용장방식(동시지급)
 10. 신용장방식(후지급)
 11. 송금 및 추심결제방식의 실무적 특성
 |  
        |  |  
        |  |  
        |  |  
        | 11. 송금 및 추심결제방식의 실무적 특성 
 1) 송금결제방식 실무적 특성
 
 ① 환어음을 사용하지 않아서 어음법(Law)이 적용되지 않는다.
 ② 적용되는 국제규칙(International Rule)이 없다.
 
 ③ 서류는 수출, 수입자간의 개인적 책임하에 직접 송부한다.
 대금결제는 수입국의 은행을 통하여 수출업자에게 송금
 되고, 서류는 은행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수출업자가
 수입업자에게 DHL, TNT 등으로 송부한다.
 
 ④ 소액, 샘플거래, 본지사간 거래, 신용을 믿을 수 있는 거래선
 사이에 사용되는 결제방식이다.
 
 ⑤ 결제방식 중 가장 낮은 은행 수수료 부담, 거래의 과정이
 신속하다.
 |  
        | 
          
            |  | 무역결제방식,  송금,  추심,  신용장,  지급인도방식,  인수인도방식,  일람불 신용장,  기한부 신용장,  추심의뢰은행,  추심은행,  동시지급,  현품인도지급,  서류상환지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