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도시패러다임의 변화 - 뉴 어버니즘[New Urbanism]에 대해서 |  
        |  |  
        |  |  
        |  |  
        | 뉴 어버니즘(New Urbanism) 
 1.뉴어버니즘의 정의
 교외화에 따른 기존 도심의 쇠퇴, 무분별한 난개발, 인종간 및 소득계층간 공간분리, 대기 및 수질오염, 농업용 토지 및 동식물 서식지 상실 등의 사회문제가 도시의 무분별한 확산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인식하에 도시개발에 대한 접근법을 바꿈으로써 사회문제를 해결하자는 도시계획운동이다.
 
 2.뉴어버니즘의 태동 배경
 
 -엄격한 지역제(zoning)로 인해서 교외화와 무분별한 도시확산(urban sprawl), 심각한 교통문제, 경직된 토지이용, 녹지공간의 부족이 발생
 -도시의 확산에 의한 도시문제의 극복대안으로써 1980년대에 미국과 캐나다에서 시작
 -어느정도의 혼재(MXD)와 고밀개발을 통해, 불필요한 장거리 통행을 감소시키고 커뮤니티 내의 보행성을 제고하는 것이 핵심적으로 요구됨.
 
 3. 뉴 어버니즘의 목표
 -환경과 인간중심의 도시
 -인간척도의 도시
 -2차대전 이전의 전통적 타운으로의 회귀작업
 -이웃 관계 회복을 통한 커뮤니티의 활성화
 : 대표적인 도시문제로 꼽히는 범죄율 상승은 주민간의 결집력이 떨어졌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도시가 익명성을 보장받기 어려운 방향으로 발전된다면 범죄율도 떨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주민들이 소통할 수 있는 도시공간이 배치된다면 더 이상 도시의 익명성도 사라지게 될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