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계 소설에 대하여- ‘흥부전’을 중심으로 -
리포트 > 인문/어학
판소리계 소설에 대하여- ‘흥부전’을 중심으로 -
한글
2013.10.11
5페이지
1. 판소리계 소설에 대하여-흥부전.hwp
2. 판소리계 소설에 대하여-흥부전.pdf
판소리계 소설에 대하여- ‘흥부전’을 중심으로 ->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1. 서론
2. 판소리로서의 ‘흥보가’
(1) ‘흥보전’의 성립
(2) ‘흥보가’의 구조
(3) ‘흥보전’에서의 인물분석을 통한 주제 찾기
3. 문학사적 의의
4. 교육적 활용 방안
(1)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을 찾아 본다.
(2) ‘부(富)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3) 시대에 따라 평가의 차이점을 알아본다.
(4) ‘놀부’의 수용과 변용
5. 결론
◎ 참고 자료 ◎
2. 판소리로서의 ‘흥보가’
(1) ‘흥보전’의 성립
‘흥보전’은 설화에서 판소리로 다시 소설로 정착된 것으로 근원설화로는 몽고의 ‘박타는 처녀’가 ‘흥보전’의 근원설화라는 지적이 있었으며, 신라의 ‘방이 설화’가 ‘흥보전’의 인물설정의 근간이 되었으리라는 지적도 있었다.
이러한 것들을 바탕으로 ‘흥보전’의 성립 배경을 살펴보면 처음에는 민담 형식의 ‘흥보이야기’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던 것이 판소리가 형성되었던 17~18세기 초 음악과 결합하여 적당히 긴 노래로 공연마당인 판에서 불리워졌을 것이다.
판소리는 무가에서 유래되었다고 보는 것이 현재의 통설이다. 즉, 판소리가 판굿에서 벌어지는 여러 레퍼토리 가운데 하나로 존재하다가 유별나게도 인기를 누리게 되자 판소리만 따로 독립하여 하나의 무대를 꾸미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판소리로 정착되어가던 ‘흥보가’는 이야기의 친근성과 선명한 선악구별, 그리고 행복한 결말 등으로 많은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그리하여 연희 마당에서 인기있는 레퍼토리가 되었을 것이다. 이리하여 ‘흥보가’를 부르는 광대는 재미있는 부분은 더욱 강조하고 그 당시 유행하던 것을 그때 그때 삽입하였을 것이다.
조선후기로 오면서 연희의 주 고객이 양반이 되면서부터는 그들의 취미나 흥미를 끌 수 있는 이야기들이 첨가되었을 것이다. 이점에 대해서는 조동일의 ‘흥부전의 양면성’이라는 논문을 보면 잘 나타나 있다. 그는 ‘흥부전’의 이야기 구조를 고정체계면과 비고정체계면으로 분류하고 고정체계면에서는 누구에게서나 일정해야 이야기가 유지되나, 비고정체계면은 화자나 창자에 따라 달라져야 이야기가 생명을 지니고 전승될 수 있다고 하였다.
즉, ‘흥부전의 핵심적 이야기인 흥부이야기는 판소리로 불려지면서 판소리의 표현방식, 청중과의 관계, 창자의 성격, 구연상의 사정 때문에 독자성을 지닌 여러 부분들을 덧입게 되었다는 것이다.
판소리계소설, 흥부전, 고전소설, 국문학, 국어
임형택, 흥부전의 현실성에 관한 연구. 계명대출판부. 1974.
임형택, 흥부전에 반영된 ‘賃勞’의 형상. 동화문화사. 1981.
조동일, 흥부전의 양면성. 새문사. 1983.
서종문, 흥보가에 있어서 ‘박사설’의 생성과 그 기능. 형설출판. 1984.
유영대, 판소리의 소설적 전개. 고소설의 제 문제.
김종철, 판소리사 연구, 역사비평사.
정병욱, 한국의 판소리, 집문당.
김태준 역주, 흥부전․변강쇠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5
판소리계 소설 연구- ‘흥부전’을 중심으로 - 채만식 희곡에 수용된 판소리 기법 및 성과
흥부전 서평 흥부전과 조선의 사회변화 심청전(판소리계 소설) 연구
민중소설로서의_심청전 이해조의자유종自由
심청전에 대하여2 고전소설론
유래와 해석을 중심으로 한 별주부전 토끼전 연구 고전소설-연암 박지원, 그가 말하다
고전소설론2 고전소설강독
판소리계 소설(토끼전) 판소리계 소설연구 -<변강쇠가>-
 
(독후감) 통섭의식탁(최재천)
리포트잘쓰는법[1]
[사회문제에 대한 이론] 구조..
순수문학 이론 논쟁-인간성 옹..
예술의_본질에_대한_시대적_고찰
제갈량병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