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고전이론 1) 베버(Weber)의 관료제 이론 : 생산을 위한 ‘엄격한 관리’ 중시
 -고도로 합리화된 규칙을 바탕으로 엄격한 업무분담과 규칙을 원칙
 (위계질서 명확, 업무분장 확실, 기술적 자격(실적, 기술)에 기반한 인사
 -문제점 : 비민주성, 비인간화, 창조성 결여, 획일적 업무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서비스대상자들을 소외시키는 결과 초래)
 2)테일러(Taylor)의 과학적 관리론
 -시간과 동작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기반으로 고도로 세분화된 업무분담 추구
 -시간당 업무시간을 정함 : 보상(인센티브)제공
 →물질적 이익에 기초한 동기부여 : 차별적 성과급 제도를 원칙
 -문제점 : 경제적 인간관, 기계적폐쇄적 조직관, 엘리트주의적
 →사회복지조직의 대상인 인간은 도덕적, 사회심리적 존재
 
 <중 략>
 
 명확한 목표설정과 책임한계의 규정, 참여와 상하협조 피드백의 개선을 통한 관리의 개선, 조직구성원의 동기유발 그리고 업적평가의 개선 등을 도모하고 궁극적으로 조직 의 효율성을 증진시키려는 관리체계
 기본요소 : 목표설정, 참여, 피드백
 특징 : 목표는 성과지향적, 긍정적, 현실적, 측정가능 한 것으로 한다. 목표는 직원들과 함께 결정 즉 참여의 강조, 피드백과 보상은 목표달성을 위해 필수적 등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적용의 한계
 -사회복지조직의 휴먼서비스는 목표설정과 성과측정이 어렵다
 -단기목표와 계량이 쉬운 업무에만 주력하는 경향을 가져 올 수 있다
 -목표관리 도입에 소요시간이 길고 운영절차가 번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