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그레고리오,성가 |  
        |  |  
        |  |  
        |  |  
        | Gregorian chant 그레고리오 성가
 로마 가톨릭의 공식적 성가로서 전례양식인 미사나 수도원의 성무일과와 함께 정형화 됨
 
 성 그레고리오 1세 대교황의 이름을 딴 것. 산재해오던 성가들을 그의 주도하에 수집, 집대성하여 정착
 
 1000년간 서구 문화의 중심을 이루었고 중세와 르네상스 시기에 발전한 종교 다성 음악의 근간이 됨
 
 유럽문화예술 발전에 동기부여 -] 서양 음악사의 출발점
 
 Ex) 글로리아(Gloria, 영광의 찬가), 상투스(Sanctus, 감사의 찬가)
 탄생 과정과 배경
 
 중세 시대 - 강력한 기독교의 지배를 받던 시기 -] 교회 의식에서 노래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 but 음악은 신앙심 고취를 위한 의식에서의 사용에 한정
 
 이탈리아 반도는 이민족들의 빈번한 침입과 약탈로 점철되던 시기
 
 나라 전체가 어수선한 분^위기 -] 로마 카톨릭 교회도 나라와 지방마다 다른 미사전례 양식과 전례음악
 
 전례와 함께 전례음악의 재정리 -] 가톨릭 교회의 통일
 
 음악적 특징
 라틴어
 반주가 없는 아카펠라의 형식
 남성
 단성음악적 (한 선율을 한 명 혹은 다수의 사람이 같이 부르는 것)
 박자나 소절이 없다 -] 자유롭게 산문적 리듬을 사용
 네우마 기보법
 
 그레고리오 성가
 =
 카톨릭 전례의 텍스트
 가톨릭교회의 예배는
 선율이 있는 가락 중심으로 진행
 미사의 거의 모든 부분이 회중(또는 성가대)과 독창자의 노래로 이루어진다
 그레고리오 성가와 가톨릭 전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