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청년실업문제,실업문제,사회문제,인턴쉽 |  
        |  |  
        |  |  
        |  |  
        | 청년실업문제 청년실업 문제
 01 문제제기 및 정의
 02 청년실업의 현황
 03 청년실업의 문제점
 04 청년실업의 원인
 05 해결방안 및 결론
 문제제기 및 정의
 SESSION 01
 PRESENTATION
 01
 취업 실패, 불투명한 미래에 방황하는 청년층
 지식채널 e- ‘눈물 흘리지 말아요’
 위의 기사는 2011년 4월 자료이며, 최근 카이스트 학생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인한 자살은 청년실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우울증이 자살과 같은 극단적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PRESENTATION
 01
 청년실업, 왜 사회문제인가
 1. 청년 실업은 노동을 미덕으로 생각하는 사회적 가치에서 벗어나 있다.
 
 2. 사회적으로 유휴노동의 증가, 초혼연령증가에 따른 출산율 저하,
 그리고 청년 개인에게는 근로의욕상실, 사회적 일탈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3. 그 원인을 사회 구조적 결함, 사회적 인식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현대 사회의 다수의 사람들이 문제라고 판단한다.
 
 5. 청년 실업 해결을 위한 개인과 사회의 행동이 요청된다.
 PRESENTATION
 01
 청년실업의 정의
 누가 청년실업자일까요
 PRESENTATION
 01
 청년실업의 정의
 청년실업자란
 
 만 15세 이상 25세 미만의 연령에 해당하는 사람 중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4주간 구직 활동을 하였으나 수입이 있는 일을
 하지 못하는 자(OECD 기준)
 우리나라의 경우 청년고용촉진특별법 시행령 제 2조와 같이 청년의 범위를 만15~29세로 상대적으로 넓게 규정하고 있다. 이는 남성의 군복무 등 우리나라의 특수성을 고려한 것이며, 다른 국가에서도 조금씩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
 청년실업의 현황
 SESSION 02
 PRESENTATION
 02
 1. 일반적 현황
 2011년 청년고용현황,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11년 12월 청년실업률은 7.7%로 지난해 같은 시기(8.0%)에 비해 감소(-0.3%p)하였고, 청년고용률은 전년동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