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장경 판각성지 고려분사남해대장도감 연구
논문 > 사회과학분야
고려대장경 판각성지 고려분사남해대장도감 연구
한글
2013.02.28
39페이지
1. 전국학술대회 [고려대장경판각성지'고려국..
2. 전국학술대회 [고려대장경판각성지'고려국..
南海에서 高麗大藏經이 彫成되었다는 설은 이미 學界에서 認定하고 있는 事項으로 筆者는 1993年에 全國文化院聯合會에서 주관한 제8회 全國鄕土文化硏究發表會에 「大藏經南海分司大藏都監」이란 主題로 論文을 제출하여 獎勵賞에 入賞한 바 있다.
고려대장경의 판각지에 대한 관심은 100여년 전부터 약간의 一部學者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으나 그동안 表面化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1990년대 초부터 專門 硏究者들은 대장경 판각조사 연구를 本格化하였고 全國으로 확산되어 학계를 비롯, 關聯 機關 및 團體와 硏究員들에 의해 자료조사가 시작되었다. 남해군에서는 1994년 4월 26일에 佛敎放送局에서 佛敎放送學術調査團을 구성하여 남해군 古縣面을 중심으로 조사 硏究事業에 着手하였다. 조사연구결과「南海分司都監 關聯 基礎調査 報告書」를 發刊하였고 南海가 高麗大藏經 板刻址로 더욱 굳어졌다. 필자는 이때 鄕土調査 分野를 맡았다.
이번 (社團法人)韓國鄕土史硏究全國協議會 弟24會 全國學術大會가 경남 남해군에서 개최됨에 따라 筆者는 全國學術大會 主管 代表者로서 1993년에 발표한 論文을 中心으로 그동안 조사 연구한 결과물을 한데 묶어 參考資料로 활용토록 本 原稿를 執筆하게 되었다.
高麗國에서는 고종 23년(1236)에 다시 再造大藏經 판각을 시작, 16년 만에 完成하여 海印寺에 奉安한 것이 高麗大藏經(一銘 八萬大藏經)이다. 이러한 고려인들의 혼이 깃들어 있는 고려대장경판의 판각지를 두고 學者들과 鄕土史家들 간에 意見이 분분하기에 이르렀고 南海가 高麗大藏經의 板刻聖地임을 考證하기 위해 各種 文獻資料는 물론 推定址 地表 및 發掘調査 등을 施行한 결과, 관련되는 遺物들이 採集되고 있어 남해가 가장 유력한 遺址로 比定되고 있다.
南海가 고려대장경의 판각지로 주장하는 이유는 高麗大藏經 補遺板으로 알려진 宗鏡錄 卷27 刊記에 「丁未歲高麗國分司南海大藏都監改版」이란 기록이 있고 고종 28년(1241)에 國子祭酒이며, 同知貢擧를 지낸 鄭 晏( ? ~ 1251)이 崔 怡( ? ~1249)의 정권이 심해지자 禍가 두려워 남해에 은거하면서 불교에 심취하여 私財를 定林社로 정하고 대장경을 刊行했다고 고려사 정안열전에 기록하고 있으며, 또한 一然스님을 고종 33년(1246)에 정안이 定林社에 주지로 청했다는 一然 碑文 記錄이 있다.
당시 남해 古縣面에는 두 곳의 大 寺刹이 있었다. 하나는 현재 花芳寺로서 신종 5년(1202)에 眞覺國師 慧諶이 남해군 서면 연죽마을에 있는 煙竹寺를 남해군 고현면 대곡리로 移建하여 靈藏寺라 칭하고 重修하였는데 高麗大藏經 板刻 34年 前이다. 그리고 20年 前. 圓妙國師가 고종 3년(1216)에 제자 元瀯과 法安을 시켜 고현면 大寺마을에 80여 간의 萬德寺를 세우고 國家에서 禪師라는 칭호를 받았다고 한다. 이렇게 고려대장경이 시작되는 시점에 판각지로 추정하는 남해군 고현면 일대에 大 規模 寺刹이 있었다는 것은 高麗大藏經 板刻과 無關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고려대장경 판각성지로 추정하는 남해군에 1994년부터 고현면 일대를 精密基礎調査硏究와 더불어 일부 特定地域을 選定하여 試掘調査까지 施行했으나 고려대장경판과 관련되는 직접적인 유물은 발견하지 못했지만 간접적인 유물이 약간 採集되었다. 즉, 高麗時代 瓦片, 靑磁片, 銘文瓦片, 돌저기, 숫돌(고정용, 이동용) 등이다. 이에 앞으로 고려대장경 판각성지 남해에 관한 조사연구는 물론 재조명으로 지속적인 발굴조사와 더불어 敎育館, 體驗館, 展示館 등을 建立하여 世界文化遺産인 高麗大藏經의 位相을 더욱 높여야 할 것이다.
고려대장경, 팔만대장경, 남해, 판각성지
팔만대장경 조판의 배경과 의미 고인쇄출판문화에 대해서
당악과 아악의 수용시대 한역_티베트어역 제명을 산스크리트어 원전 제..
한용운 종교와 신앙(불교, 천주교, 기독교, 성지순례)
대장암 진단적 검사 고려대학교의료원자기소개서+면접자료,고려대학..
남해 모시갈쌈의 보존과 의미 고려대의료원 자소서+면접, 고려대학교의료원 ..
고려시대의 사회복지 한국사 독후감 - 기록을 남기지 않은 자의 비애..
[사회복지정책] 미국, 영국과 우리나라의 지역.. [사회복지정책] 미국, 영국과 우리나라의 지역..
 
[레포트] 사회복지학 - 사회복..
Elord 저자기호법에 관한 고찰
비정규직 법 시행 성과에 대한..
현 여성복지의 자리매김
문화마케팅으로본동아시아의한..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