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국악이론 - 종묘제례악에 대해서 |  
        |  |  
        |  |  
        |  |  
        | 1. 종묘제례악이란 
 ①국악개론
 이조의 역대 제왕의 제사때 쓰이던 제사음악이다
 ②전통음악개론
 종묘에는 공이 큰 임금 19분의 신위가 모셔져 있고, 영녕전에는 조선 왕조의 공이 큰 왕족 15분의 신위가 모셔져 있다. 일년에 한번 함께 제사하며 이때 연행되는 악(보태평, 정대업)· 가(악장)· 무(일무) 일체를 말한다
 ③알기쉬운
 국악개론
 종묘와 영녕전의 제사에 사용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을 말하며 줄여서 종묘악이라고도 한다
 ④한국음악개론
 조선시대 역대 임금의 신위가 있는 종묘에서 제사때 쓰이는 음악의 총칭이다
 ⑤한민족음악론
 조선시대 역대 제왕의 제사 드릴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 무용일체를 말한다
 종 합
 조선시대의 역대왕이 모셔져 있는 종묘와 왕족이 모셔져 있는 영녕전에서 일년에 한번(매년 5월 첫째주 일요일)함께 지내는 제사때 연행되는 악(보태평,정대업),가(악장),무(일무) 일체를 종묘제례악이라 하며, 종묘제례악무 또는 종묘악이라고도 한다
 
 2. 종묘제례악 역사
 『알기쉬운 국악개론』『전통음악개론』
 ①세종대왕(1416~1450)이 연희 음악(회례연의 악무))으로 만든 보태평과 정대업을 세조10년(1464) 에 종묘제례악으로 채택함
 ②세종대왕이 직접 당시의 향악(고려가요)과 고취악에 기초하여 정대업 15곡 남녀궁계면조와 보태 평11곡 임종궁 평조를 창제함➜세조이후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면서 정대업11곡, 보태평11곡으 로 고정됨(황종궁계면조,황종궁평조)
 ③정대업과 보태평은 『세종실록』악보,『세조실록』악보,『대악후보』,『속악원보』에 전함
 ➃『세종실록』악보의 정대업, 보태평은『세조실록』악보와 많은 차이가 있다.
 ⑤『세조실록』악보와『대악후보』악보는 거의 같다.(단 보태평의 악곡 중에 용광과 정명을 한곡 으로 묶어 ‘용광정명’이라 하고 ‘중광’을 새로 추가한 점이 다름)
 ....
 |  
        |  |  
        |  |  
        |  |  
        |  |  
        |  |  
        | 
			                
            
            |  | 국악이론 |  | 국악문묘제례악관람기 |              
            
            |  | 한국의 온돌에 대해서 |  | 종묘와 종묘제례 종묘 제례악 |              
            
            |  | 朝鮮時代宗廟祭禮樂硏究최종논문[1] |  | 무형문화재, 민속, 유형 문화재, 박물관 개념, .. |              
            
            |  | 세계문화유산이란 |  | 국악의 역사, 유래, 정의, 국악 악기의 특징, .. |              
            
            |  | 전통음악문묘제례악 |  | 문화적_관광자원 |              
            
            |  | 등축제_조사통계_축제경영마케팅 |  | 종묘를 통해 알아본 다각화전략,종묘에대한개략.. |              
            
            |  | [답사보고서]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종묘을 .. |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