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서양 중세도시계획사 연구
 2006. 4. 10
 2
 CONTENTS
 유기적인 중세초기의 도시형태와 유형
 1
 새로운 교류의 시대와 중세도시
 2
 3
 유기적인 중세초기의 도시형태와 유형
 4
 로마시대의 붕괴와 중세로의 전환
 4C 후반 게르만족의 대이동 → 서로마제국 멸망(476년)
 ⇒ 고대세계 몰락, 중세사회 형성
 
 중세(Middle Age) : 서로마제국 멸망 이후 ~ 15C까지
 도시 및 상업 쇠퇴, 인구의 농촌 분산(전기), 인구증가와 상업의 발달(후기)
 기독교가 도시문화에 새로운 싹을 돋게 함
 주종관계+장원제도(왕, 제후, 기사, 농노)
 장원 : 자급자족적인 농촌공동체, 농노(부역, 납세)
 * 120ha~2,000ha
 
 영주 : 면세특권, 재판행정권(독립된 정치체제)
 5
 영주는 외래 자유노동자
 고용 및
 신도시 건설
 
 (개인의 자유)
 (자율적 행정)
 ①농업생산량의 증가와
 잉여생산물 증대
 → 지역간 교역 발생
 
 ②상인, 수공업자의 등장
 
 ③농민의 도시 이주
 → 도시인구 증가
 봉건 농노
 경제 체제
 중세도시의 형성과 발전
 6
 중세도시의 형성과 발전
 7
 성 외곽지역의 성장 : 새로운 성벽 건설로 도시확대
 성과 새로운 군사적 방어법(시민군) → 살기 좋고 사회적 보호받는 도시
 10C부터 도시운동 : 자치도시 과정, 상인 및 장인의 신도시 정착
 교회수도원이 도시발전을 주도 : 다리 건설, 시장 개장
 경작가능토지 확대, 경작법 합리화 → 11~13C 상업, 공업, 무역의 부활
 상거래의 활성화, 도시 인구 및 부 증가, 상업인구 증가, 활발한 상품교역
 도시 성장과 발달
 8
 8C 상업으로 번창, 자치도시(1191년, 매년 시장선거)
 국제상업의 중심지(伊와 무역, 한자동맹 상인은 교역 근거지 설치)
 13C 중엽 국산 양모무역도시로 지정
 15C초 모험상인회사 특허, 각종 상인길드 형성
 도시 성장과 발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