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세미나] 2005년 경제 및 경영 환경 전망 |  
        |  |  
        |  |  
        |  |  
        | 2005년 경제 및 경영 환경 전망 2
 목차
 세계경제 전망
 I
 국내경제 전망
 정부의 정책 변화
 산업별 전망
 기업의 대응
 주요이슈
 II
 IV
 III
 VI
 V
 3
 2005년 세계경제 전망
 I
 5. 세계경제 둔화 조짐
 1. 국제유가 향방
 2. 중국경제 연착륙
 4. 세계 금융시장
 3. IT경기 둔화
 6. 세계경제 전망
 4
 유가에 대한 두 가지 견해
 비관론:
 
 수급 불균형
 
 고유가 시대
 낙관론:
 
 수급 안정
 
 유가 점진적 안정
 두바이유 기준 32-35 달러에서 안정
 - OPEC의 생산쿼터 확대 및 불안요인 진정 - 석유수요 증가세 둔화
 원유공급 한계 - 사우디 이외 Excess Capacity가 거의 없음 - 신규유전 부족, 기존유전 생산 증대 한계
 석유수요 증가 - 중국, 인도 등 아시아 지역 수요 급증
 원유공급 원활 - 기술 발전: 개발비용 감소, 가채율 상승 - 유사원유(샌드오일, 쉐일오일) 충분
 정세불안 해소 - 러시아, 베네주엘라 등 정세 안정
 I. 1.
 5
 중국경제 과열 진정과 연착륙
 긴축조치로
 과열 다소 진정
 중국경제
 연착륙 가능성이
 높은 상황
 2005년을 기점으로 연착륙 가시화
 8%대 성장, 3%대 인플레이션 달성 전망
 분기별 성장률: 9.8%(1/4)→9.6%(2/4)→9.3%(3/4)
 
 - 고정자산투자증가율: 48%(1~2월) → 28%(1~9월)
 
 금리 인상: 기준금리를 0.27%p 인상
 전면적인 긴축정책 가능성 희박
 - 내수 위축, 실업 증가 우려와 지방정부 반발
 7~9%의 성장잠재력은 충분
 - 수출, 외국인투자, 서부대개발, 올림픽 관련 투자 등이 성장 견인
 I. 2
 6
 IT경기 조정 국면 진입
 
 반도체, LCD 부문 설비투자 경쟁
 휴대폰, 가전 분야 신규업체 대거 진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