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군대윤리 |  
        |  |  
        |  |  
        |  |  
        | 국가관 목 차
 동양의 국가관
 서양의 국가관(1)
 서양의 국가관(2)
 직업군인의 국가관
 위대한 대한민국
 군인의 국가관
 충성
 민주 시민의 책임과 의무
 사례연구
 결론
 동양의 국가관
 도가의 국가관
 -자연의 순리대로 통치하는 소극적, 무정부주의적 국가관
 -대표적 사상가:노자
 -노자:소국과민→겸허와 부쟁의 덕을 통해 이룰 수 있음
 
 법가의 국가관
 -법에 의해 현실 통제하는 국가지상주의
 -진나라 시황제 천하통일 밑거름
 -대표적 사상가:한비자
 -한비자:부국강병 → 인위적으로 강제,부유한 나라,강한 병
 사력을 가진 국가를 지향
 
 동양의 국가관
 유가의 국가관
 -가족주의 또는 도덕주의적 국가관
 -효제충신:효도,우애,충성,신의
 -대표적 사상가:공자,맹자
 -공자:대동사회→복지국가와 유사/통치자→덕치주의
 -맹자:민본주의적 역성혁명론
 묵가의 국가관
 -모든 사람은 평등
 -대표적 사상가:묵자
 -한비자:겸애설→무차별사랑
 국가관이란
 통일적인 전체로서의 국가의 목적, 의의, 성립, 형태 따위에 대하여 가지는 견해. 또는 주장의 체계를 의미한다.
 서양의 국가관
 가. 고대적 국가관
 - 도시국가체제를 갖춤으로써 상호패권다툼으로 전쟁은 생활의 일부가 됨
 -도시국가의 전체의 생존권 확보를 위한 자존자위 정신이다.
 서양의 국가관
 나. 중세 봉건사회적 국가관
 - 봉건제도의 형성을 통하여 주종제도를 확립하였다.
 - 기사계급의 기사도 정신은 당시의 군인정신을 대표하였다.
 - 지상의 군주와 기독교의 교황과의 권위 대립, 갈등이 있었다.
 근세적 국가관
 국민 공동체의 의사를 중요시하는 국민주권 국가관
 
 - 과거 전제군주의 군주주권론에 대항하여 국민주권론이 등장
 
 1789년부터 프랑스에서 일어난 시민 혁명으로 정치적으로는 국민주권의 국가 탄생
 현대의 국가관
 다원적 국가관
 
 현대는 근대의 격변하고 경쟁하는 시대가 아니라 전 세계가 모두 번영하고 공동을 추구하는 시대
 Ex) 평화유지군 활동
 
 현대는 국수주의, 배타주의를 인정하지 않음
 직업군인의 국가관-직업군인과 국가의 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