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문 능력의 특성과 쓰기 영역 교육과정 설계 
 A. 내용요약
 1. 작문 능력의 개념
 ☑ 글을 쓰는 행위는 의미를 구성하는 행위임과 동시에 목적에 맞게 지식을 변형하고 구성하는 인지적 과정이며, 다양한 가능성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대안을 선택해야 하는 협상의 과정이다. ☞ 글을 쓸 줄 아는 능력의 구성 요인을 파악하기 어렵게 된다.
 ☑ 쓰기 활동을 잘 하는 데 필요한 두 가지 요인은 쓰기의 관습에 대한 지식과 쓰기의 과정에서 요구되는 문제 해결 전략이다.
 
 2. 작문 능력의 특성
 ☑ 글을 쓰는 능력을 협상을 통한 의미 구성 능력이라는 데서 그 특성을 찾을 수 있다.
 ☞ 해석하기, 협상하기, 재고하기
 ☑ 쓰기 능력은 전략적 지식의 집합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그 특성을 찾을 수 있다.
 ☞ 글을 쓰는 과정에서의 목표와 전략과 의식작용
 
 3. 작문 영역 교육과정 설계
 (1) 성격 규정
 ☑ 고등학교 국어과 작문 과목 교육과정의 성격을 규정할 때에 중시하는 측면
 ① 작문 기능의 특성 및 중요성
 ② 작문 과목의 교육 목표와 국어 교과 내에서의 작문 과목의 위상
 ③ 작문 과목의 교수·학습 내용
 ☑ 고등학교 작문 과목의 내용 체계: 작문의 본질, 작문의 원리와 전략, 작문의 실제
 
 (2) 목표 설정
 ☑ 작문 과목의 목표: 작문 기능의 특성, 작문의 원리와 전략, 작문의 상황과 작문의 실제, 작문의 태도와 습관
 ☞ 개인적, 사회적 행위로서의 작문에 대한 이해와 다양하고 풍부한 상황에서의 작문 활동을 바탕으로 작문 능력을 신장하고 작문 활동을 통해 공동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기른다.
 
 (3) 내용 체계의 설정
 ☑ 언어사용 활동의 형태, 언어 사용 활동의 ahr적, 언어 사용 활동의 기저 지식 측면
 
 (4) 내용의 선정과 조직
 ☑ 작문 과목의 내용은 작문 과목 내용 체계를 바탕으로 하여 작문 과목의 목표를 가장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선정해야 한다.
 
 (5) 지도 방법과 평가 방법에 관한 내용의 선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