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항공운송에 관한 기구, 법규, 정책(국제민간항공기구, 국제항공운송협회, 우리나라 항공법) |  
        |  |  
        |  |  
        |  |  
        | 항공운송에 관한 기구, 법규, 정책(국제민간항공기구, 국제항공운송협회, 우리나라 항공법) 
 
 목차
 
 항공운송에 관한 기구, 법규, 정책
 
 Ⅰ. 국제민간항공기구
 
 1. 국제민간항공기구의 설립과 목적
 2. 국제민간항공기구의 조직 및 사업
 
 Ⅱ. 국제항공운송협회
 
 1. 국제항공운송협회의 설립과 목적
 2. 국제항공운송협회의 조직 및 기능
 
 Ⅲ. 우리나라의 항공법
 
 1. 항공법의 정의
 2. 항공법의 목적
 1) 항공기의 안전운항 확보
 2) 항공운송사업의 질서확립
 3) 항공기법의 국제적 통일
 3. 항공법의 특성
 1) 국제성
 2) 강제성
 3) 국가성
 4) 통일성
 |  
        |  |  
        |  |  
        |  |  
        | 항공운송에 관한 기구, 법규, 정책 
 1. 국제민간항공기구
 
 (1) 국제민관항공기구의 설립과 목적
 1947년 4월 4일 국제민간항공조약의 발효와 함께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가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시카고회의에서 국제민간항공기구의 성격에 대하여, 영국은 국제항공을 관리 ․ 감독하는 강력 한 관리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미국은 하늘의 자유를 기본으로 국제항공의 질서유지 및 발전을 목적으로 정보의 교환, 기술적 협력의 촉진을 위한 기관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 결과 미국의 주장이 대폭적으로 반영되어 국제민간항공기구는 국제항공의 안전 및 건전한 발전을 목적으로 한 각국 정부 간의 국제협력기관으로서 설립되었다.
 
 
 
 ...이하 생략(미리보기 참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