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자음 체계> 연구
리포트 > 인문/어학
국어 <자음 체계> 연구
한글
2012.01.30
4페이지
1. 국어 (자음 체계) 연구.hwp
2. 국어 (자음 체계) 연구.pdf
국어 <자음 체계>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1. 연구 방향

2. 국어사 시대 구분

3. 자음 체계의 시대별 고찰
3-1. 고대 국어의 자음 체계( 통일 신라까지)
3-2. 전기 중세 국어의 자음 체계(10세기 ~ 14세기)
3-3. 후기 중세 국어의 자음 체계(15세기 ~ 16세기)

〈참고문헌〉
1. 연구 방향
자음이란 목 안이나 입 안의 어느 부분이 막히거나 좁혀지거나 하여 밖으로 나가는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아서 나는 소리를 말한다. 전시기의 자음 체계를 살펴본다는 것은 자음 체계의 역사적 변화를 고찰하는 것이다.
음운 체계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음운 사이의 대립적 관계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것은 다시 두 가지로 나뉜다. 음운의 생성 소멸이 그 하나고 음운의 대립관계의 변화 즉 짜임새의 변화가 그 하나이다.
이러한 음운의 생성과 소멸, 대립관계에 대해서 시대별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2. 국어사 시대 구분
역사 시대 이후 만주 일대와 한반도에 자리를 잡은 우리 민족의 언어는 대체로 북방 부여계 언어와 남방의 한계 언어로 나뉘어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 뒤 이들은 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로 발전되면서 서로 공통점과 함께 차이점도 가진 언어들로 발전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시기의 언어에 대해서는 자료의 부족으로 말미암아 그 구체적인 모습을 알기 어렵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면서부터는 경주를 중심으로 언어가 통일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 시기 국어를 고대국어라 부른다.
고려의 건국과 더불어 언어의 중심지는 개성으로 옮겨 갔다. 이 시기의 언어는, 일부 고구려어의 흔적이 발견되기는 하지만, 크게 보아 신라어를 계승하며 발전된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의 건국으로 언어의 중심이 지금의 서울 지방으로 옮겨졌으나 언어의 모습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다. 그래서 고려의 건국부터 16세기 말까지의 국어를 중세국어라고 부른다. 중세 국어는 전기 중세 국어, 후기 중세 국어로 더 나누기도 한다. 훈민정음이 창제되어 한글로 적은 문헌 자료가 많이 나온 시기는 주로 후기 중세 국어에 속한다.
17세기부터는 음운, 문법 등에서 앞 시대의 국어와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 모음 체계상에 변화가 일어났으며, 여러 문법 현상들이 사라지거나 새로 생겨나기도 했다. 이 시기, 즉 17세기 초부터 19세기 말까지의 약 300년 동안의 국어를 근대국어라고 부른다.
문법, 자음, 자음체계, 중세국어, 음운론
이기문(1972), 『국어사 개설』, 탑출판사, .
허 웅(1983), 『국어학』, 샘문화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소(1996), 『고등학교 문법』, 교육부.
고대국어 자음체계 구개음화의 통시적 연구와 특징
국어의특징 근대국어의 음운현상- 자음을 중심으로 -
[한국어 이해] 중세와 현대의 자음동화 국어 화법-국어의 특징에 대해-
국어 사랑과 민족 정신 국어의 <모음체계> 연구
[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 국어의 평폐쇄음화 현상에 대하여
[국어학] 국어 음운론으로 알아보는 표준발음법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과 과제
자음동화의 제약과 방향 국교과정론
 
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사회..
(독후감) 통섭의식탁(최재천)
리포트잘쓰는법[1]
[사회문제에 대한 이론] 구조..
순수문학 이론 논쟁-인간성 옹..
예술의_본질에_대한_시대적_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