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인간발달의 제 이론] 정신역동이론, 신프로이트주의자, 자아심리학자, 학습이론, 인지이론, 도덕이론, 대인관계이론, 인본주의 이론 |  
        |  |  
        |  |  
        |  |  
        | 주요 개념 
 ․ 강화(reinforcement) : 어떤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을 증대시키는 행동에 대한 반응
 - 정적 강화 : 행동이 정적 강화물에 의해 뒤따를 때 반응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
 - 부적 강화 : 행동에 뒤따르는 혐오자극을 제거함으로써 반응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
 ․ 처벌(punishment) :어떤 행동에 뒤따르는 결과가 그 행동을 다시 야기할 가능성
 을 감소시킬 때마다 일어나는 것
 - 정적 처벌 :행동이 혐오자극에 의해 뒤따를 때 반응의 빈도가 감소하는 것
 - 부적 처벌 :행동에 뒤따르는 긍정적 자극을 제거함으로써 반응의 빈도가 감소
 하는 것
 · 소거(extinction) '.강화를 통해 형성된 조작행동이 줄어들거나 나타나지 않는 것
 
 (2) 라자루스(Lazarus)
 스키너의 이론을 확대시켰다.
 
 (3) 반두라
 사회학습이론을 공식화하였다.
 
 - 사회학습이론의 기본이론
 
 · 상호결정론 : 환경자극이 인간행동에 영향을 주지만,  신념,  기대와 같은 사람요인 역
 시 인간의 행동방식에 영향을 준다는 가정
 · 학습모델 : 조건형성에 인지적 중재를 포함시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개념모델 제안
 자극(S1) -주의 -자극(S2) -인지적 과정 -반응-자극(S3)
 ' 인지(cognition) :지식을 얻고 조직하고 사용하는 과정으로 사회적 학습은 주로 인식
 에서 비롯된 인지적 활동
 · 자기규제 :수행과정,  판단과정,  자기반응과정으로 이루어짐
 · 자기효능감 : 주어진 과제나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인적 능력과 관련
 된 개인의 신념
 · 대리강화 : 관찰자가 직접 경험한 모델의 행동을 목격할 때마다 학습
 · 사회화 과정
 
 - 자 극
 
 ․ 반응모델로부터 벗어나 학습행동의 모방과 모델링 역할,  자기효과 강조
 
 
 ...이하 생략(미리보기 참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