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장 조직이론의 기초 1. 조직의 개념
 ⑴복수의 구성체로 이루어지고,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협동성을 지닌 의사결정으로 봄(Simon).
 ⑵현대사회를 가리켜 ‘조직의 사회’라 말하기도 함(Etzioni).
 2. 현대조직의 특성
 ⑴전문화․분업의 원리보다는 통합성 강조(synergy 효과)
 ⑵대규모성(복잡성, 이질성, 불확실성, 불안정성, 전문성)
 ⑶기본은 계층제, 단독제․계선 중심
 ⑷환경변수 고려[동태적, 유기적, 개방체제, 다학문성(범학문성)]
 ⑸과정․절차보다는 결과․산출 지향적
 3. 조직이론의 발달과정(Waldo 주장)
 ⑴고전적 조직이론
 ①1920년대 과학적 관리론, 행정관리설, 기술적 행정학, 관료제 조직과 유사
 ②수직적, 집권적, 경직성을 초래
 ③하향적 의사전달(의사전달의 제약성, 의사전달의 일원화)
 ④공식구조 중시[계층제 강조, 피라미드 조직, 전문화(분업)의 원리 중시, 권한과 책임한계가 분명, 안정성(환경변수 무시, 폐쇄체제, 내부문제 중시)]
 ⑤인간을 하나의 기계적 부품으로 간주(기계적 능률성, X이론, 경제적 보상이나 물질을 중시, 피동성, 경제적․합리적 인간 중시)
 ⑥개혁이나 변화에 저항이 강함.
 ⑵신고전적 조직이론
 ①1930년대 인간관계론과 유사
 ②심리적․감정적․정서적 요인 중시(비합리적 요인 중시)
 ③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사회적 능률성 중시, Y이론, 민주형).
 ④사회적 인간
 ⑶현대 조직이론
 ①1940년대 이후 행정행태론, 체제론, 발전행정론, 신행정학, 사회체제모형, 상황이론, 전략적 선택요인 등
 ②불완전성, 외부문제 중시(개방체제, 환경변수 중시)
 ③다양한 변수를 고려(구조, 인간, 환경, 가치관)
 
 S
 환경:‘상황이론’ 강조(Contingency theory, 상황적응이론, 복잡성, 복잡인관)
 ④변화․개혁에의 저항이 완만
 
 제2장 조직의 유형
 
 1.Blau Scott(수익자를 기준으로)
 
 조직의 유형
 예
 결사(호혜적)조직
 정당, 노동조합
 기업조직
 회사
 봉사조직
 병원, 학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