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행정] 행정법상의 법률요건 |  
        |  |  
        |  |  
        |  |  
        | 행정법상의 법률요건 
 제1절 의의 및 종류
 
 1. 의의
 (1)행정법상의 법률요건 : 행정법관계의 발생‧변경‧소멸이라는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는 사실
 (2)법률사실 : 법률요건을 구성하는 개개의 사실
 (3)양자의 관계
 ①여러개의 법률사실이 법률요건 구성하는 경우: 건축허가의 경우 사인의 신청과 행정청의 허가처분으로 이루어짐이 그 예
 ②1개의 법률사실이 법률요건 구성하는 경우:하명의 경우 행정청의 하명처분만으로 구성
 
 2. 종류
 (1) 행정법상의 사건
 사람의 정신작용을 요소로 하지 않는 행정법상의 법률사실
 (2) 행정법상의 容態
 사람의 정신작용을 요소로 하는 행정법상의 법률사실
 
 ① 내부적 용태 (내심) : 외부에 표시되지 않은 정신상태로서 행정법적
 효과를 발생하는 것
 ex) 고의‧과실, 선의‧악의
 ② 외부적 용태 : 사람의 정신작용의 발현인 거동으로서 행정법적 효과를 발생하는 것
 ex)작위‧부작위
 
 제2절 행정법상의 사건
 
 Ⅰ. 시간의 경과
 1. 기간
 한 시점에서 다른 시점까지의 시간적 간격
 민법규정의 적용
 
 (1) 기간의 기산점
 초일 불산입의 원칙 : 기간을 일‧주‧년‧월로 정한 경우 초일을 산입하지 않고 익일로부터 기산
 예외 ⇒ 오전 0시부터 시작하는 기간(민법 §157단서)
 연령계산(민법 §158)
 국회의 회기(국회법 §7)
 공소시효‧구속기간(형소법 §66 ①)
 ☞형소법 제66조(기간의 계산) ① 기간의 계산에 관하여는 시로써 계산하는 것은 즉시부터 기산하고 일, 월 또는 연으로써 계산하는 것은 초일을 산입하지 아니한다. 단, 시효와 구속기간의 초일은 시간을 계산함이 없이 1일로 산정한다.
 
 기간을 시‧분‧초로 정한 경우 ⇒ 즉시로부터 기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