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Normalization의 개념과 변화과정에 대한 분석 |  
        |  |  
        |  |  
        |  |  
        | -목차- 
 Ⅰ. Normalization 의 등장 배경
 
 Ⅱ. 각국의 Normalization 개념의 생성 및 변화과정
 1. 스칸디나비아 반도식 정의
 2. 북아메리카식 접근방법
 3. 영국식의 개념발전
 4. 일본의 Normalization
 5. 우리나라의 Normalization
 
 Ⅲ. Normalization 의 사상
 1. Normalization 의 개념
 2. Normalization 의 선행개념
 3. Normalization 운동과 기본사상
 4. Normalization 의 특징
 
 Ⅳ. Normalization 원리의 사회적용 모델
 1. Normalization 원리에 의한 사회통합 구체적 접근 예
 2.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둔 정상화 이론
 3. 실천 모델
 
 Ⅴ. Normalization 논의의 정상화를 위한 비판
 1. 이론적 비판
 2. 실증적 비판
 3. 문제점 및 시사점
 
 Ⅵ. Normalization 에 대한 평가
 
 Ⅰ. Normalization 의 등장 배경
 현대 지역사회복지 정책방향에서 서비스의 질을 개선시키는 강력한 기준으로 대두되어 자리 잡게 된 정상화 이론은 1969년 뉴리에(Nirje)에 의해 최초로 소개된 것으로 ‘발달장애인에 대한 평등의 기회를 주장하면서 시작되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