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여성과_전쟁,_평화 |  
        |  |  
        |  |  
        |  |  
        | 여성과 전쟁, 평화 여성과 전쟁, 평화
 목 차
 1.전쟁과 여성 - 전쟁의 피해자 - 전쟁의 참여자 - 군대와 여성2. 여성과 평화 - 이론3. 여성과 평화 - 활동
 1. 전쟁과 여성
 전쟁
 전쟁이란
 둘 이상의 국가 또는 이에 준하는 집단 간의 군사력을 비롯한 모든 수단을 사용해서 상대의 의지를 강제하려고 하는 행위 또는 그 상태
 전쟁에 대한 공식적인 기록은 남성 중심적, 도식적, 이데올로기적임
 개인과 약자들의 전쟁에 대한 기록은 무시 당하거나 기록되지 않음
 不能說 “전쟁에는 진실이 있지만 기록에는 빠져있지. 진정한 역사는 몸이 기억하는 것이야. “
 여성과 전쟁
 현대전에서는 민간인의 인명피해가 증대
 되고 있음
 상대적으로 방어할 능력이 취약한 여성과
 어린이가 최대 피해자임
 보스니아내전의 사망자의 80%는 여성!
 전쟁의 직접적 피해자
 전시 강간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의 사회적 위치는 남성의 소유물로 인식
 전시 강간은 성욕 해소를 위한 도구
 적 공동체와 남성의 명예에 대한 모독과 파괴의 차원에서 자행됨
 타 민족간의 전투에서 보다 심각하고 잔혹함
 그 역사는 전쟁만큼이나 오래된 범죄
 전시 강간
 여성에게 회복될 수 없는 심각한 육체적 정신적 피해를 입힘
 
 전시 강간은 심각한 범죄 행위로
 ‘명예에 대한 범죄’가 아닌
 ‘여성에 대한 범죄’로 봐야함
 전시 강간 - 이태원의 유래
 이태원 - 임진왜란 때 일본군에 의해
 전시 강간이 자행된 장소
 梨泰院 - 배나무가 많은 곳
 異胎院  다를 異, 아이 밸 胎 집 院
 다른 아이(왜놈의 아니)를 밴 곳
 국가에 의해 집단 모여 살게 됨
 아이들은 성장 후 관노로 귀속
 전시 강간 - 일본군위안부
 태평양전쟁, 중일전쟁 기간에 발생
 종군위안부와 다른 점은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이루어 졌다는 점
 일본군에 의해 징집, 동원되어 성노예로 취급 당한 전시강간 사건, 그 수는 5만에서 수십 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