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시대의 사상가 안향, 이색, 정몽주, 지눌, 최충
 안향
 안향
 교육적 인간상 : 극치성경인
 교육 이념 : 충, 효, 예, 신, 경, 성
 교육 방법 : 실천 강조, 비유 사용, 엄격, 친애 강조
 교육 목적 : 인재양성
 교육사상: 주자학을 근본으로 교육이란 성현의 도를 배우는 것
 *성현의 도*
 효(孝)제(悌)충(忠)신(信)경(敬)성(誠) 등
 일상생활의 윤리를 실천하는 것
 
 우리나라에 주자학을 처음으로 전합→ 최초로 성리학 도입
 *성리학*
 사람의 심성과 마음을 중요시→ 효와 같은 것들을 매우 중요시
 남자중심사회의 사상적 배경
 섬학전 제도 : 국학이 부진하고 재정이 곤란하여 교육재정이 어려움을 지적
 *섬학전*
 국학의 교육 재정의 확보 방안으로 국학의
 진흥을 도모하기 위한 장학 재단
 
 문무관리로부터 기부금을 모아 양현고 재정 충당→장학기금 설립
 국자감 부흥에 커다란 공헌을 한 사람
 국가의 성쇠는 교육에 달려 있다고 보고 유학 교육에 힘썼다.
 국자감에 유능한 교수를 확보하기 위한 제도로 ‘경사교수도감’의 설치를 주장
 이색
 이색
 교육적 인간상 : 문무겸비인
 과거제에 무과를 둘 것을 강조→ 문무겸비인주장
 교육사상 : 성리학에 기초
 이성론, 호연론, 활연론
 교육목적 : 성리의 학
 교육 이념 : ‘불심유성동일관’에 입각
 *불심유성동일관*
 불교의 진리와 유교의 진리는 동일한 것
 교육방법
 강의와 토론, 분석과 절충, 개성적 장점의 인정 등을 중요시
 단계별 교수를 주장
 1단계 강의 : 분몬을 강의함
 2단계 의의 : 의문을 논란함
 3단계 분석 : 같음과 다름을 분석하고 판별
 4단계 절충 : 이치에 적합하도록 절충함
 5단계 주지 : 주지에 합치하도록 힘씀
 정몽주
 정몽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