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장기자본조달 |  
        |  |  
        |  |  
        |  |  
        | 장기자본조달 
 제1절. 장기자본조달의 개요
 1.장기자본조달의 의의
 자본조달을 투자대상의 특성과 부합시킬 수 있는 구분방법. 경영지배권의 문제 고려
 2. 장기자본조달의 결정요인
 - 자본비용
 - 조달기간과 자본의 용도
 - 경영권의 문제
 - 기업성장의 단계
 
 제2절.자본시장
 1.자본시장의 의의
 자본시장(capital market) : 장기자금의 수요와 공급을 연결시키는 시장
 금융시장 (money market): 단기자금 수요와 공급을 연결시키는 시장
 좁은 의미에서의 자본시장은 증권시장: 유가증권을 발행하고(발행시장), 발행된 증권을 거래하는 시장(유통시장)
 ① 증권시장이 갖추어야 할 요건
 -유가증권의 수요와 공급에 관한 정보제공하여 유가 증권의 적절한 가격이 형성되도록 함
 -유가증권의 유동성(신속성, 예측성)
 -거래 비용의 최소화(내적 효율성)
 -유가증권의 가격은 그 유가증권이나 시장전체에 영향을 주는 정보를 반영(외적효율성)
 2. 발행시장
 -발행주체가 장기적인 자본을 조달하기 위하여 새로운 증권을 발행하는 시장
 (유가증권의 모집, 유가증권의 매출)
 -직접발행 vs 간접발행
 ① 발행시장의 구조
 자금 자금
 발행주체 ⇆ 발행기관 ⇆ 투자자
 증권 증권
 - 발행기관: 발행자에게 조언 , 사무적인 발행절차대행
 인수기능( 유가증권을 발행자로부터 매입하는 기능)
 총액인수법- 발행기관이 유가증권을 먼저 모두 매입하고, 그 매입한 증권을 발  행기관의 책임하에서 일반투자자에게 매출하는 법
 잔액인수법- 발행기관이 일반투자자에게 유가증권을 매출 중개하고 매출이 안 된 유가증권만을 매입하는 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