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외화환산의 의의 |  
        |  |  
        |  |  
        |  |  
        | • 외화환산의 의의 : - (FASB 8호) 일국의 화폐로 측정, 표시된 금액을 두나라 사이에 존재하는 환율을
 사용하여 타국의 통화로 표시하는 과정
 - (52호) 다른 통화로 측정, 표시되어 있는 금액을 그 기업의 보고통화로 표시하는
 과정
 • 외화환산의 목적 :
 환율 변동이 재무제표 작성에 미치는 경제적인 효과로 정확하게 인식, 보고하는 데
 있다.
 
 • 외화환산의 필요성 :
 - 외화시세가 변동해서 환차손익을 계산해야 하는 경우
 - 해외 자회사, 종속회사에 다른 외환을 원화로 표시하는 경우
 - 해외지점에 표시되어 있는 외환표시를 원화로 환산하는 경우
 - 본,지점에 합병 재무제표 작성시 해외에 있는 재무제표 항목을 환산하는 경우
 - 국제금융기관에서 차관을 받을 때
 - 해외로부터 차관을 받을 때
 - 해외로부터 기술이나 특허권 사용할 때
 
 • 환율의 개념 : 특정시점 통화의 교환비율
 
 • 우리나라 환율제도 :
 1. 복수통화 바스켓제도 ( 1980 - 1990년 )
 - 우리와의 주요국 통화의 시세변동과 우리나라 국제수지 등을 감안해서 설정
 - 장점 : 환율을 안정적으로 유지
 - 단점 : 외화의 수급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함
 대외적으로는 환율을 인위적으로 조장한다는 오해의 소지가 있음
 2. 시장평균환율제도 ( 1990. 3 - ) : 우리나라가 채택
 - 고객과 외국환은행간의 외환거래가 은행간 외환거래에 따른 원화나 달러화의 매매
 기준율로 결정. 매일아침마다 전국은행에 통보
 
 • 외화환산에 적용되는 환율
 1. 현행환율 (마감환율,결재일환율)
 - 기업의 B/S가 작성되는 날의 환율
 - (FASB 52호) 모든 자산과 부채 및 자본항목을 표시
 2. 역사적환율 ( 취득일 환율 )
 - 특정거래가 있는 날의 환율
 3. 평균환율 ( 일정기간의 환율을 평균한 것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