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입부문. : 수입부문은 내 자신의 수입과, 배우자가 맞벌이를 한다는 가정하에 배우자의 수입도 합산 하여 계산하였다.
 
 1) 나 자신의 수입.
 : 나 자신의 직업을 기업의 회사원이라 하고, 연봉을 요즘 3년차 대졸자의 연봉인 1800만 원 정도로 했을 때, 월급은 매달 150만원 정도 탄다고 가정하였다.
 2) 배우자의 수입.
 : 배우자의 직업을 중학교 선생님이라 하고, 연봉을 1200만원 정도로 하였을 때, 월급은 매 달 100만원 정도 탄다고 가정하였다.
 3) 총수입.
 : 둘의 수입을 합산하여, 나의 가정의 수입은 대략 월 180만원 정도로 보았다.
 
 매 달
 매 년
 
 나의 수입
 150만원
 1800만원
 배우자 수입
 100만원
 1200만원
 합 계
 250만원
 3000만원
 
 #지출부문.
 * 지출부문은 크게 나누어 의식주인 피복부문과 식생활부문, 주거생활부문의 지출을 첫 번 째로 하고, 그 외의 지출부문을 두 번째로, 저축이나 투자부문을 세 번째로 나누었다.
 * 피복부문은 계절별로 그 지출을 계산하고 나중에 1년 기준으로 합산하였으며, 식생활부 문은 매달의 지출을, 주거생활은 매년의 지출을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 그 외의 지출부문과 저축-투자부문은 모두 한 달을 기준으로 계산한 후, 1년 단위로 다 시 정리를 할 것이다.
 
 1. 의식주부문.
 1) 피복부문. (1년기준)
 : 피복부문은 식생활부문과는 달리 매달의 지출을 평균적으로 잡을 수는 없는 것이므로 계 절의 변화에 따라 지출이 생긴다고 가정, 계절을 나누어 지출을 예상하였다. 식생활부문이 나 주거생활부문보다는 약간 세밀하게 조정하였다.
 
 내 정장
 배우자의 정장
 구두-신발이 나 엑세서리
 속옷이나 티등 가벼운 옷가지
 합 계
 봄
 10만원
 15만원
 5만원
 3만원
 33만원
 여름
 15만원
 25만원
 5만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