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단과정과 프로그램 개입기술 
 1. 집단과정의 실제
 1) 집단준비단계 : 집단성원의 선정, 집단구성, 집단목표 설정
 (1) 집단성원의 선정
 ․ 모집방법 : 게시판이나 기관지 광고, 팜플렛 등을 활용
 ․ 집단성원의 유형
 ① 자발적 성원 : 개인이 의도적으로 집단에 소속하기를 희망, 동호회나 운동모임
 ② 비자발적 성원 : 감옥, 정신병원 등의 개인이 희망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한 프로그램센터, 학교와 같은 상황의 성원
 (2) 집단의 구성이론
 ․ 집단응집력이론 : 집단에 대한 매력이 집단구성의 결정적 변수, 단일 집단구성을 지지
 ․ 사회적 소우주이론 : 집단을 축소된 사회적 소우주로 좀. 집단은 학술기회를 최대화하기 위해 ‘지금 여기’에서의 경험의 중요성 강조
 ․ 불일치이론 : 갈등이 치료과정에 기본적이라는 임상적 합의, 집단구성에 있어 다양한 대인적 성향과 갈등을 가진 성원들을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
 (3) 집단의 구성
 ․ 집단의 특성과 과정에 영향을 받음
 ․ 성원들의 욕구와 행동, 문제의 유사성
 ․ 행동규범이나 문화적으로 다른 특성들의 일탈정도에 대한 인내의 폭
 ․ 집단목적과 관련된 기술들에 대한 판단과 조화
 ․ 사회복지사의 예견 등에 의해 결정
 
 2) 첫 모임 전의 준비단계
 (1) 집단계획
 ․ 집단목표의 설정
 ․ 집단성원들의 특성 및 개인적 욕구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
 ․ 목표달성에 적합한 물리적 환경의 설정
 ․ 첫 모임에서의 의제
 ․ 집단지도자의 역할에 대한 명확화
 (2) 첫 모임 전 사회복지사의 과제
 ․ 집단을 지도하기 위한 지침을 마련
 ․ 집단개시에 대해 통지
 ․ 첫 모임 전 마음의 안정
 ․ 모임장소에 일찍 도착
 
 3) 집단개입의 개시단계
 (1) 개시기 집단의 특징
 ․ 접근, 회피의 공존
 ․ 성원들끼리의 평가․서열화․투쟁
 ․ 하위집단의 등장 및 형성
 (2) 집단지도자의 역할
 ․ 자기소개, 기관소개, 집단 목적의 명확화, 집단성원과의 계약
 ․ 라포의 수립
 (3) 개시기 사회복지사의 사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