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법률행위대리권 및 재산관리권회복허가청구
청구취지
청구인이 사건본인(미성년자) □□□에 대한 법률행위대리권 및 재산관리권을 회복함을 허가한다.
라는 심판을 구함.
청구원인
1. 청구인은 미성년자인 사건본인의 모입니다.
2. 청구인은 귀원에서 년월일 사건본인에 대한 법률행위대리권 및 재산관리권 의 사퇴허가를 받은 같은 달 9일에 호적신고를 하였습니다.
위 사퇴의 이유는 청구권이 미성년자와 .. |
|
|
|
|
|
 |
|
법률행위의 대리
제1절 대리제도와 대리권
[1] 대리제도
1. 대리가 인정되는 범위
재산법상의 법률행위에 한하여 대리가 인정된다.
(1) 준법률행위
1) 사실행위⋯⋯부인
2) 의사의 통지, 관념의 통지⋯⋯인정(통설)
(2) 신분행위⋯⋯부인
(3) 불법행위……부인
2. 대리와 구별할 제도
(1) 사자(使者)⋯⋯전달기관, 표시기관
1) 전달기관인 사자가 잘못 전달한 때에는 의사표시의 연착․불착의 문제가 된다.
2) 표시기.. |
|
|
|
|
|
 |
|
1 미성년자
본적, 주소, 성명 등
2. 권리상실(사퇴)자
본적, 주소, 성명 등
3. 재판확정일자
4. 기타사항
5. 신고인
성명, 자격, 주소 등
6. 작성방법
2명 이상의 미성년자인 자에 대해 신고가 있는...
생략
7. 첨부서류
상실을 원인으로 할 경우에는...
생략 |
|
|
|
|
|
 |
|
법률행위의 대리와 관련한 민법상 쟁점 연구
Ⅰ. 들어가며
1. 대리의 의의
(1) 대리의 개념
법률행위에 있어 그 법률효과가 표의자가 아닌 다른 자에게 귀속되는 제도가 代理이다. 예컨대, A가 B에게 토지의 매수를 위한 대리권을 준 경우, B가 그 토지 소유자인 C와 매매에 관한 흥정을 하여 계약을 체결하면, 그에 따른 法律效果, 즉 매매계약에 기한 권리와 의무가 직접 A와 C 사이에 생기는 것.. |
|
|
|
|
|
 |
|
대리권(본인과 대리인의 관계)
1. 대리권의 의의
대리인의 행위가 본인에게 효과를 발생하기 위해서는 대리인에게 대리권이 있을 것을 요하는데, 대리권이란 대리인이 의사표시를 하거나 받는 것에 의해 그 효과를 직접 본인에게 귀속시킬 수 있는 법률상의 지위 또는 자격(권한)을 말한다(통설).즉 대리할 수 있다는 것은 권리가 아니고 지위 내지 자격이다(자격설). 대리권은 본인의 의사에 의해 발생되.. |
|
|
|
|
|
 |
|
1. 미성년자
본적, 주소, 성명 등
2. 권리회복자
본적, 주소, 성명 등
3. 재판확정일자
4. 기타사항
5. 신고인
성명, 자격, 주소 등
6. 작성방법
2명 이상의 미성년자인 자에 대해 신고가 있는...
생략
7. 첨부서류
상실회복을 원인으로 할 경우에는 재판서등본...
생략 |
|
|
|
|
|
 |
|
-민법상 대리에 관하여 조사-
-목 차-
1. 대리의 의의
2. 대리의 본질에 관한 설
3. 대리의 종류와 범위
4. 대리권의 제한
5. 표현대리
1. 대리의 의의
대리의 의의란 표의자가 아닌 다른 자에게 법률효과가 귀속되는 제도이다. 즉 대리인의 의해 모든 행위가 이루어지지만 그 효과는 직접 본인에게 귀속한다는 것이다.
2. 대리의 본질에 대한 학설
대리는 모든 행위가 대리인에 의하여 행하여지지만 그.. |
|
|
|
|
|
 |
|
法律行爲
I. 法律行爲의 의의와 종류
1. 法律行爲의 의의
法律行爲란 일정한 법률효과를 의욕하는 의사표시를 요소로 하며, 의욕한 내용대로의법률효과가 나타나는 법률요건이다.
2. 法律行爲의 요건
(1) 일반적 성립요건 : 당사자, 목적, 의사표시의 존재
(특별성립요건 : 혼인의 신고,유언의 형식 등)
(2) 일반적 효력요건 : 당사자의 권리능력과 행위능력의 존재,
목적의 실현가능성․적법성․사.. |
|
|
|
|
|
 |
|
대리제도와 대리권
Ⅰ. 대리제도
1. 대리가 인정되는 범위
재산법상의 법률행위에 한하여 대리가 인정된다.
(1) 준법률행위
1) 사실행위⋯⋯부인
2) 의사의 통지, 관념의 통지⋯⋯인정(통설)
(2) 신분행위⋯⋯부인
(3) 불법행위……부인
2. 대리와 구별할 제도
(1) 사자(使者)⋯⋯전달기관, 표시기관
1) 전달기관인 사자가 잘못 전달한 때에는 의사표시의 연착․불착의 문제가 된다.
2) 표시기관인 사자가 잘못 표시한 .. |
|
|
|
|
|
 |
|
민법상 대리권의 의의 및 발생원인
1. 대리권의 의의
대리권은 본인의 이름으로 의사표시(또는 법률행위)를 하거나 수령하고, 그 法律效果를 본인에게 귀속시킬 수 있는 법률상의 지위를 말한다. 대리권은 권리가 아니라, 대리인이 본인의 이름으로 의사표시를 하거나 또는 의사표시를 받음으로써 직접 本人에게 일정한 법률효과를 발생케 할 수 있는 능력 또는 자격이라는 설(자격설)이 통설이다. 따라서.. |
|
|
|
|
|
 |
|
민법상 대리권의 범위와 제한
Ⅰ. 관련 법규정
* 제 118조 [ 대리권의 범위 ]
권한을 정하지 아니한 대리인은 다음 각호의 행위만을 할 수 있다.
1. 보존행위
2. 대리의 목적인 물건이나 권리의 성질을 변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그
이용 또는 개량하는 행위
* 제 119조 [ 각자대리 ]
대리인이 수인인 때에는 각자가 본인을 대리한다. 그러나 법률 또는 수권행위에 다른 정한 바가 있는 때에는 그러하지.. |
|
|
|
|
|
 |
|
민법상 대리권의 범위와 제한
1. 법정대리권의 범위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예컨대, 부재자의 재산관리인 및 상속재산관리인이 제118조에 규정한 권한(관리행위)을 넘는 행위를 함에는 법원의 허가가 있어야 한다(25조․1053조 등).
2. 임의대리권의 범위
1) 수권행위의 해석
① 임의대리권의 범위는 수권행위에 의하여 정해진다. 따라서 대리권의 범위는 수권행위의 해석에 의해서 결정된.. |
|
|
|
|
|
 |
|
Ⅰ.일상가사대리권 [日常家事代理權]이란
일상가사대리권 [日常家事代理權]이란 법률상 일상적인 가사(家事)에 대하여 부부 상호간에 인정되는 대리권이다.
우리 민법은 부부 재산제에 대하여 부부별산제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즉 부부라 할지라도 각자의 재산은 스스로가 관리하고 처분한다는 것이다. 혼인을 한 부부 사이에는 공동체적 요소와 서로 독자적인 요소가 아울러 존재한다. 부부로서 혼인공동.. |
|
|
|
|
|
 |
|
친권자의 벌률행위의 대리권 및 재산관리권의 상실심판청구
청구취지
상대방 ☆☆ ☆의 사건본인 □□ □에 대한 법률행위 대리권 및 재산 관리권을 상실한다.
라는 심판을 구함.
청구원인
1. 청구인은 사건본인 미성년자의 외조모이고, 상대방 ☆☆☆은 사건 본인의 부로서 친권행사자입니다.
2. 사건본인의 모♡♡ ♡는 남편인 상대방 ☆☆ ☆과 20 년월 일협의이혼하고 사건본인과 같이 친정으로 돌아와서 청구 |
|
|
|
|
|
 |
|
대리권수여의 표시에 의한 표현대리 (민법)
1. 요건
1) 본인의 제3자에 대한 대리권 수여의 표시
① 표 시 ┬ (ⅰ) 관념의 통지설(통설) : 수권이 있었음을 상대방에 통지
└ (ⅱ) 의사표시설(이영준) : 상대방에 대한 외부적 수권행위
② 표시의 상대방 : 특정, 불특정(신문광고)을 불문
[대리권의 표시방법] … 대리권 수여의 표시에 의한 표현대리는 본인과 대리행위를 한 자 사이의 기본적인 법률관계의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