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검색결과 약 3,778개 중 6페이지)
| |
|
|
|
 |
|
민사소송법상 신의성실의 원칙에 대한 법적 검토
Ⅰ. 서설
信義誠實의 原則(Treu und Glauben, 신의칙이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하므로, 이하에서는 신의칙이라고 한다)이라 함은 “모든 사람은 社會構成員의 一員으로서 사회 속에서 相對方의 信賴를 헛되이 하지 않도록 성의를 가지고 行動하여야 한다는 原則”이다. 원래 信義나 誠實이라는 말은 윤리적․도덕적 차원의 용어이나 법이란 윤리나 도덕에 기초하.. |
|
|
|
|
|
 |
|
민사소송법상 이행의 소
1. 이행의 소의 의의
민사소송에서 履行의 訴(Leistungsklage, Verurteilungsklage, coercive remedy)는 원고가 피고에 대한 특정의 履行請求權의 존재를 주장하여, 그 確認과 이에 기한 履行을 명하는 判決을 구하는 訴이다.
이때 이행의 소의 목적은 이행청구권의 확정과 피고에 대한 이행명령의 두 가지를 목적으로 한다.
2. 이행의 소의 종류
이행의 소는 이행청구권의 內容.. |
|
|
|
|
|
 |
|
쟁의행위에 관한 민사책임에 대한 노조법의 개정방향
1. 민사면책의 원칙
헌법상 기본권 행사로서의 단체행동권의 행사는 원칙적으로 형사상·민사상 적법한 것(정당성의 존재)으로 추정되는 것이어야 함에도‘이 법에 의한’쟁의행위로 그 범위를 제한하여 규정하는 것은 쟁의행위를 사실상 불법으로 보고 ‘이 법에 의한 쟁의행위’만을 정당한 것으로 보는 입법형식으로 원칙-예외의 법률규정형식과 완전히 |
|
|
|
|
|
 |
|
민소법상 무권대리인의 개념과 소송법상 취급
Ⅰ. 민사소송법상 무권대리인의 개념
민사소송법상 무권대리인이라 함은 대리권이 없는 대리인을 말한다. 당사자본인으로부터 대리권을 수여받지 못한 경우, 법정대리인의 무자격, 특별수권없는 대리행위, 그리고 대리권을 서면으로 증명하지 못한 경우 등이다. 60조에 따라 대표권이 없는 자도 무권대리인에 준한다.
특히 법인이나 비법인 사단(예, 종중)에 .. |
|
|
|
|
|
 |
|
민사재판권의 범위로써 국제관할권
1. 들어가며
민사재판권의 물적 범위의 문제는 이른바 국제관할권 내지 국제적 재판관할권의 문제이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국제관할권의 의의
민사사건 중에 섭외적요소를 가지는 것(외국에서 발생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소송, 외국인을 당사자로 하는 소송, 외국에 있는 물건에 관한 소송 등)에 관하여 우리나라의 법원이 .. |
|
|
|
|
|
 |
|
민사소송법상의 당사자에 대한 법적 검토
Ⅰ.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의 개념
민사소송법상 當事者(Partei, 영어: Party)라고 함은 자기의 이름으로 권리보호(소의 제기, 가압류․가처분 신청 등의 재판상의 권리행사)을 요구하거나, 요구받는 자를 의미한다. 당사자는 자기의 이름으로 권리보호를 요구하거나 요구받으면 족한 것이고, 실체법상의 권리의무의 주체일 필요는 없다. 소송법상의 당사자 개념은 실.. |
|
|
|
|
|
 |
|
민사소송에서 법정대리인의 권한
1. 들어가며
민사소송법상 법정대리인의 권한과 관련하여 소송행위와 관련하여 법정대리인의 대리권의 범위는 민사소송법에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민법 기타 법률에 의한다고 법은 규정하고 있다.
2. 법정대리권의 범위
ⅰ) 친권자
일체의 소송행위가 가능하다.
ⅱ) 후견인
소송행위를 함에는 친족회의 동의
다만 상대방의 제소 또는 상소에 관하여 수동적행위를 함에 있.. |
|
|
|
|
|
 |
|
死者에 대한 민사 소송과 당사자 확정
1. 들어가며
민사소송은 실재한 당사자 사이의 다툼에 대한 법원의 재판권행사를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므로 실재하지 않은 당사자에 대한 소의 제기 및 판결은 무의미하다. 따라서 당사자의 실존은 가장 중요한 소송요건이고, 실재하지 않은 당사자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은 소송요건의 흠결로서 각하를 면치 못할 것이다(판결이 선고된 경우에는 무효이다).
사자.. |
|
|
|
|
|
 |
|
민사소송법상 실체법상 법정 대리인
1. 법정 대리인의 의의
민사소송법상 법정대리인이라 함은 법률의 규정 또는 법원의 재판에 의하여 대리인이 된 자를 말한다. 즉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소송상 대리인이 된 자를 의미한다. 법원의 선임명령(134조)에 의하여 대리인이 된 자는 결국 본인이 대리인이 될 자를 구체적으로 선택한 것이므로 법정대리인이 아니고 임의대리인에 해당한다.
소송상 법정대리.. |
|
|
|
|
|
 |
|
민소법상 민사소송에서 재판적 (토지관할의 발생원인이 되는 인적 물적 관련지점)
Ⅰ. 법정관할법원의 결정
1. 보통재판적 소재지의 법원
제2조, 제3조, 제5조 등의 규율에 따른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따라서 피고 을의 주소지인 광주광역시를 관할하는 광주지방법원에 법정 관할권이 있다.’ 등으로 규정한다.
2. 특별재판적 소재지의 법원
제7조 내지 제24조의 규정에 따른다. 예를 들어 ‘따라서 불법.. |
|
|
|
|
|
 |
|
민사소송에서 소장심사와 보정명령
1. 들어가며
소장의 심사의 시기는 개념적으로 소장이 접수되면 즉시 하여야 할 것이고, 소장의 적식 여부에 관한 것이므로 소송요건의 존부 및 청구의 당부를 판단하는 것 보다 선행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소장의 심사는 원칙적으로 재판장의 권한이라고 할 수 있다.
2. 보정명령의 의의
소장심사 결과 소장이 적식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재판장은 상당한 기간을 .. |
|
|
|
|
|
 |
|
민사소송법상 소송물논쟁에 대하여
1. 총설
소송물은 민사소송의 중심상, 축점이므로 이를 둘러싸고 많은 논쟁이 행하여져 왔다. 이 소송물을 둘러싼 논의를 소송물논쟁이라 한다. 소송물논쟁을 개념법학의 총아로 극찬하는 학자들도 있고, 개념법학의 말기현상이라고 비판하는 학자들도 있다. 그러나, 민사소송법 나아가 소송법에 있어서 소송물개념이 가지고 있는 중요성 즉 분쟁해결의 단위, 권리보호.. |
|
|
|
|
|
 |
|
민사소송에서 사건 배당 완료후의 피고에 대한 소장부본의 송달
1. 소장부본 전달의 의미와 문제
소가 제기되어 사건의 배당이 완료되면 담당재판부에서는 소장부본을 피고에게 송달하여야 한다. 이는 피고에게 방어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소장부본이 피고에게 송달됨으로 인하여 소송계속의 효과가 발생하고, 그 다음날부터 지연손해금의 법정이율이 연 25%로 인상된다.
그런데 소장이 적식하.. |
|
|
|
|
|
 |
|
민사소송 외의 분쟁해결제도
1. 들어가며
소송에 갈음하는 분쟁해결제도로는 화해, 조정, 중재, 상담, 협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자율적 분쟁해결방법 또는 자율적 분쟁해결제도라고 불리우고 있다. 이는 민사소송제도가 국가에 의한 강제적 분쟁해결방법임과 달리 당사자 사이의 자율적 분쟁해결을 도모하고 있다는 점에서 커다란 차이가 있다.
현재 민사소송제도가 가지고 있는 단점인 시간이 오래 걸.. |
|
|
|
|
|
 |
|
민사소송은 법률관계인지 법률상태인지
1. 들어가며
민사소송은 하나의 소의 제기로 시작되어 사실이라는 하나의 절차이나, 법률현상으로서 법률관계인가, 아니면 법률상태인가에 관하여 견해가 대립된다.
2. 법률관계설
독일의 법학자 뷔로(Oskar Bulow)가 최초로 주장한 견해로서, 소송이란 법률 주체 상호간의 구체적인 법률관계라는 것이다. 이 경우 법률관계라고 할 경우에 어떠한 법률관계가 형성..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