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하루만에 읽는 기독교론
기독교복음사역원
메시지 사역장, 손 영
1. 기독교
2. 계시, 일반계시와 특별계시
3. 성경영감설, 기계적영감설, 동력적영감설, 유기적영감설
4. 삼위일체
5. 예수 그리스도
6. 그리스도
7. 죄, 죄의 기원과 본질, 자범죄
8. 속죄
9. 은혜계약
10. 믿음
11. 교회
12. 죽음
13.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재림, 그리고 최후의 심판 |
|
|
|
|
|
 |
|
하루만에 읽는 성령론
기독교복음사역원
메시지 사역장, 손 영
1. 성령론
2. 4대쟁점
3. 구약시대, 하나님의 영
4. 하나님의 영의 특별한 역사
5. 구약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영
6. 삼위일체 하나님과 성령
7. 보혜사
8. 보혜사의 역할과 사역
9. 성령과 성경
10. 성령 받을자의 자격
11. 성령받은자의 생활
12. 성령의 9가지 열매 |
|
|
|
|
|
 |
|
교회와 각 기관과의 양해각서 체결 내용을 사례로 기록함 양해각서 체결양식 |
|
|
|
|
|
 |
|
요한복음 스토리
1. 개요
2, 공관복음과 요한복음의 차이점
3. 요한복음1~21장 강해 요한복음 스토리
1. 개요
2, 공관복음과 요한복음의 차이점
3. 요한복음1~21장 강해 |
|
|
|
|
|
 |
|
하루만에 읽는 신약개론
기독교복음사역원 메시지사역장 손 영
1. 신약개론
2. 신구약중간사 : 시대의 개관
3. 신구약중간사 : 유대분파들
4. 신구약중간사 : 회당과 성전
5. 신구약중간사 : 외경
6. 신약성경 형성사
7. 예수님의 제자, 12사도의 사역
8. 복음
9. 복음서를 통해본 예수님의 생애 마지막 7일의 여정
10. 마태복음
11. 마가복음
12. 누가복음, 구주론
13. 요한복음
14. 사도행전
15. .. |
|
|
|
|
|
 |
|
하루만에 읽는 구약개론
기독교복음사역원 메시지사역장 손 영
1. 총론, 성경
2. 창세기
3. 출애굽기
4. 레위기
5. 민수기
6. 신명기
7. 여호수아서
8. 사사기
9. 룻기
10. 사무엘상서
11. 사무엘하서
12. 열왕기상서
13. 열왕기하서
14. 역대상서
15. 역대하서
16. 에스라
17. 느헤미야
18. 에스더서
19. 욥기
20. 시편
21. 잠언
22. 전도서
23. 아가서
24. 이사야서
25. 예레미야서
26. 예레미야 .. |
|
|
|
|
|
 |
|
하루만에 읽는 초대교회사
기독교복음사역원
메시지사역장 손 영
1. 사도들의 활동과 기독교의 시작
2. 오순절 성령의 역사
3. 예루살렘 교회
4. 예수님의 제자, 12사도들의 사역
5. 사도 바울의 신학
6. 사도 바울의 제1차 전도여행
7. 사도 바울의 제2차 전도여행
8. 사도 바울의 제3차 전도여행
9. 사도 바울과 로마 교회와의 관계, 그리고 로마의 역사
10. 사도 바울의 로마 선교.. |
|
|
|
|
|
 |
|
하루만에 읽는 중세교회사
기독교복음사역원
메시지사역장 손 영
1. 교황 그레고리오1세
2. 잉글랜드 복음화의 선구자, 성 어거스틴
3. 카롤루스 대제
4. 동방교회와 서방교회, 그 차이점
5. 교황 그레고리오7세 힐데브란트와 로마황제 헨리4세
6. 수도원의 개혁운동, 클루니 수도원, 시터 수도원
7. 십자군운동
8. 스콜라철학, 실재론과 유명론
9. 안셀무스(안셀름), 속죄론
10. .. |
|
|
|
|
|
 |
|
하루만에 읽는 근세교회사
기독교복음사역원 메시지사역장 손 영
1. 근세교회사의 개요
2. 청교도운동
3. 합리주의와 자연신론
4. 계몽주의와 칸트
5. 경건주의, 친첸도르프
6. 복음주의, 존 웨슬리
7. 신비주의, 퀘이커파, 스웨덴보그파
8. 낭만주의, 슐라이어마허
9. 로마카톨릭의 개혁운동
10. 동방교회의 근대사
11. 식민시대, 아메리카지역의 교회성장
12. 독립전쟁이후의 .. |
|
|
|
|
|
 |
|
한국교회사의 역사와 발자취를 통해 현재와 미래에 조명해 볼 한국교회의 흐름을 살펴본다 한국교회사 이야기
1. 조선인의 기독교인과의 접촉
(1) 일본 천주교인의 입국 :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
(2) 선조(宣祖)와 광해군(光海君,1575~1641년)의 천주교 연구
(3) 허균(許筠)과 천주교
(4) 소현세자(昭顯世子)와 선교사 아담 샬(Adam Schall)의 만남
2. 한반도를 향한 외국 기..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