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치매노인치료] 인정요법 (Validation Therapy) - 인정요법의 기법들과 인정요법의 사례들

[치매노인치료] 인정요법 (Validation Therapy) - 인정요법의 기법들과 인정요법의 사례들

목 차

인정요법의 기법들
인정요법의 사례들

인정요법은 N. Feil에 의해 주창된 것으로 인지기능이 손상된 노인들에 대한 현실요법의 반동으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Feil은 1963년 당시 치매노인의 지남력을 개선할 목적으로 현실요법을 시행하고 있었으나 차츰 현실요법의 치료적 의의에 대해 의문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즉 치매노인들에게 사람, 시간, 장소에 대한 지남력을 계속적으로 주지시켜 현실감을 유지하도록 돕는 요법을 시행했을 때 노인들은 더 화를 내고 더 위축되고 더 의존적이며
지남력은 오히려 저하되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Feil은 치매노인들의 혼돈된 말과 행동들을 그대로 수용하여 인간적인 위엄과 심리적 안위와 자존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Validation(인정) 의 개념을 발전시키게 되었습니다.
인정 요법의 기본 가정은 치매노인의 말과 행동은 돌보는 사람에게는 혼란스럽게 보일지라도 의미가 있는 것이므로 돌보미의 역할은 이상한 말과 행동을 수용하고 노인이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인정요법의 기법들
 
1) 5하원칙
왜 를 제외한 언제, 누가, 무엇을, 어디서, 어떻게 같은 비위협적이고 구체적인 단어를 사용하여 치매노인과 대화한다. 치매노인은 자신의 행동과 감정을 논리적으로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 즉 왜 그렇게 행동했는지에 대하여는 관심이 없다. 간호제공자는 치매노인에게 왜
그렇게 행동했는지 다그치면 안된다. 또한 그가 느끼는 감정에 직면하도록 강요하지 말고 누가, 어디서, 어떻게, 언제, 무엇을 을 묻는 사실적인 질문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도록 유도한다.
 
2) 반복
치매노인의 말을 반복한다.
치매노인은 자신이 말한 내용을 다른 사람에 의해 다시 듣게 될 때 종종 안위를 느낀다. 핵심 단어뿐만 아니라 목소리 톤과 말의 속도도 똑같이 흉내낸다.
 
3) 극단
....

[hwp/pdf][치매노인치료] 인정요법 (Validation Therapy) - 인정요법의 기법들과 인정요법의 사례들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