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본 자료는 월마트의 한국진출 사례 및 실패대응 전략에 대해 소개한 자료로 서론 부분에서는 주제선정동기와 월마트의 기업소개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본론 부분에서는 월마트 코리아의 전략과 결과, 한국 소비자의 특성, 월마트의 한국진출의 실패 요인, 월마트의 실패를 통해 살펴본 대응 전략 등을 제시하였으며, 결론부분에서는 종합적인 내용 요약 및 시사점 등을 제시한 자료임

I. 서 론
1. 선정동기
2. 기업소개

Ⅱ. 본 론
1. 월마트 코리아의 전략과 결과
2. 한국 소비자의 특성
3. 월마트의 한국진출의 실패 요인
4. 월마트의 실패를 통해 살펴본 대응 전략

Ⅲ. 결 론
< 참 고 자 료 >

II. 본 론

1. 월마트 코리아의 전략과 결과
1998년의 한국 경제 위기를 기회로 삼아 한국에 진출한 월마트는 다음과 같은 진입전략을 사용하였다.
첫째, 할인업체가 집중되어 있는 지역으로의 출점을 통한 공격적 경영, 둘째, 미끼 상품을 이용한 최저가 이미지 구축, 셋째, 자금력에 기초한 전국적 다점포화 및 매입체제의 조기구축, 넷째, 효율적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LCO(Low Cost Operation)의 구축, 다섯째, 정보시스템의 활용에 근거한 제반 협력의 구축 등을 진입전략으로 하였고 이 외에 회원제 운영, 외곽지대의 체인화 등을 추가전략으로 하였다.
월마트의 주요 점포 운영형태는 월마트 디스카운트 스토어와 슈퍼센터, 샘스클럽 등의 3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한국시장에는 이 중에서 슈퍼센터의 컨셉으로 운영하기로 결정하였고, 1999년 3월 1일 부터 인수한 4개의 모든 점포를 슈퍼센터로 전환하였다. 2000년에서 2003년 월마트의 저가운영방식은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고, 한국에서의 수익은 연간 최대 140억 원에 달했다. 그러나 월마트의 경영방식은 어려움에 직면해 2004년 36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으며, 2005년엔 손실액이 104억 원으로 확대되었다.
이 같은 원인으로는 한국시장에서 주요 구매자인 한국 여성소비자들의 기호에 맞지 않는 매장 환경과 회원제 제도를 꼽을 수 있다. < 중 략 >

[docx/pdf]월마트의 한국진출 사례 및 실패대응 전략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