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한국 문학에서의 참여론과 순수론

한국 문학에서의 참여론과 순수론

1. 참여론과 순수론 개요

전후의식의 극복과정에서 가장 커다란 진폭을 남기고 있는 비평적 쟁점은 문학의 현실참여와 관련된 문단의 분파적 논쟁이다. 전후의 혼란한 현실 속에서 인간의 삶과 그 존재방식에 대한 회의와 저항이 교차되면서, 현실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문학의 힘이 요구되기 시작한다. 문학이 사회현실과 역사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능동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것은 당대적 상황에 대한 비판적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그러한 지적인 분위기는 2차 대전 이후 사르트르를 중심으로 하는 프랑스 실존주의자들의 앙가주망 운동에 간접적으로 영향 받은 바 크다.
시인은 당대의 사회 역사적 상황을 외면할 수 없다. 참여론은 1960년에 간헐적으로 나타나서 1964년 극렬한 논쟁으로 발전하고 재연되면서 1970년대까지 길게 그 여운을 남겼다.
문학에서의 현실참여는 우선적으로 작가 자신이 현실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표명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현실에 입각하여 시대와 상황에 대한 문학의 역할을 자각하는 것이 필요하다. 적극적인 문학의 사회참여를 주장하며 현실의 부조리를 비판하고 고발하는 문학정신을 강조하는 견해들이 4․19혁명 이후 문단의 관심을 모으게 된다. 김우종, 홍사중, 김병결, 장백일, 임중빈 등이 내세운 참여문학론은 순수문학의 예술지상주의가 지니고 있는 허구성을 지적, 비판하면서 새로운 파문을 일으켰다. 이들은 문학의 비판정신을 리얼리즘의 정신과 연결시키기도 하고, 역사의식에 바탕을 둔 작가의 사회적 태도와 그 책임을 모럴의식으로 내세우기도 한다. 문학의 현실참여론이 문단의 관심사가 되자, 이에 대한 비판론도 만만치 않게 등장하고 있다. 문학의 순수성과 그 예술적 가치를 옹호하고 나선 김동리, 조연현 등의 구세대는 물론이고, 김상일, 이형기, 김양수 등이 이에 동조하게 되어 순수론과 참여론의 논쟁이 확대된다.

2. 참여시 또는 민중시의 전개

....

[hwp/pdf]한국 문학에서의 참여론과 순수론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