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농업의 미래

농업의 미래

박석두(농촌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서울대 임학 '72)

사마천의 「사기(BC97년)」에 이런 말이 나온다. 무릇 가난한 자가 부유해지려면 농은 공만 못하고 공은 상만 못하다. (여인이) 자수에 문양을 새기느니 차라리 저자 거리의 문 옆에 서 있는 것(=매춘)만 못하다. 경제학의 이른바 클라크의 법칙과 다를 바 없는 말이다. 이로 미루어 기원 전의 고대에도 농사가 수지 맞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봉건시대 때까지는 농업은 천하지대본이었으며, 공업이나 상업은 농업을 보완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경제사에서는 봉건시대를 공동체의 마지막 시기라고 하는데, 이 때까지는 도시는 농촌과, 상공업은 농업과 협력관계였다고 말한다.

자본주의 시대가 되면서 농업과 공업, 농촌과 도시의 관계는 대립관계로 바뀌었다. 더 정확히 말하면 공업과 도시가 농업과 농촌을 수탈하는 관계로 변하였다. 상공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된 반면 농업은 더디게 발전함으로써 이른바 농업문제가 발생하게 된 것도 이 때부터였다. 200여년에 걸쳐 자본주의가 발전하는 동안 농업 기술과 생산력 또한 발전을 거듭하였지만, 농업․농촌의 토지와 노동력이 끊임없이 도시와 상공업으로 빠져나갔다. 경제가 발전될수록 산업으로서의 농업의 비중이나 농업 인구의 비중은 작아졌다. 농업은 쇠퇴산업이라는 게 통설이 된 것이다. 하물며 노도처럼 밀려드는 값싼 외국 농산물에 비틀거리는 한국 농업은 이미 빈사 상태에 빠져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

[hwp/pdf]농업의 미래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