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프랑스혁명사론

이 책의 구조를 보면 먼저 서론에서는 프랑스 혁명에 관한 여지껏 알려진 정통파에 반대하는 새로운 해석과 거기에 관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본론에서는 정통파의 주장과 수정파의 주장을 실어서 독자로 하여금 두 주장을 비교해 볼 수 있게끔 하였다. 끝으로 두 파간의 논쟁을 실었다.
그럼 먼저 서론부터 살펴보면 서론에서는 글 머리에 정통파와 수정파의 정의를 내려 독자의 이해를 도왔는데 정통파는 프랑스 혁명이 반봉건적이고 반귀족적인 부르조아 혁명이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고 이에 반하여 수정파는 봉건적 질서가 사라지고 부르조아지의 지배가 그 뒤를 이었다고 해석하는 사람들이다.
또 작자는 서론에서 많은 수정파들의 견해를 싣고 거기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검토했다.
내가 이 책에 불만인 점도 여기에 있다. 서론 부분에서 여러 수정파들의 견해를 소개해 주어서 좋았다. 그러나 나는 이책의 목적이 널리 알려진 정통파에 비해 널리 알려지지 않은 수정파를 소개하는 데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작자는 수정파들의 주장을 이야기하고 거기에 나타난 문제점들만을 들추어 내어서 일방적으로 수정파를 비판하기도 하였다. 마치 작자가 정통파의 옹호론자 같아 보였다. 객곽적으로 수정파의 주장만을 싣고 거기에 대한 평가를 독자에게 맡긴 아니라 자신의 주관이 너무 많아서 독자로 하여금 스스로 생각해 보게 하지 않고 결론을 미리 내려 놓고 독자가 그것에 동조하게 하려고 하는 것 같았다.

제 1부 정통파의 해석
제 2장 세계사 속의 프랑스 혁명 - 르페브르
....

[hwp/pdf]프랑스혁명사론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