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통신공학 실험 -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 실험목적
VCO의 구조와 동작원리를 이해한다.

2. 실험 관련이론
(1) VCO는 전압제어 발진기라 불리며 전압이 선형적으로 변할 때
출력 주파수도 선형적으로 변하게 된다. 출력신호의 주파수는
입력신호의 크기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주파수 변조기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출력주파수 공식

VCO 블럭선도

3. 실험 기자재 및 부품
전원공급기, 멀티미터, 오실로스코프, 함수발생기
저 항 2 : 10㏀, 1㏀
가변저항기 : 20㏀, 5㏀
커패티서 3 : 10㎌, 0.005㎌, 0.001㎌
IC : LM566 VCO

4. 실험과정
(1) 그림 10.2의 회로를 구성한다.

[VCO 회로도]
(2) 오실로스코프의 A채널을 4번핀에, B채널을 3번핀에 연결한다.
☞ 3번핀은 출력파형의 구형파를, 4번핀은 출력파형의 삼각파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3) 5번핀에 10.5V가 걸리도록 가변저항 P2를 조정한다.
☞ 멀티미터기를 사용하여 5번핀에 연결된 저항 10K의 양 끝에
전압을 측정하여 10.5V가 되도록 가변저항 P2를 조정한다.
(4) 출력주파수가 10㎑가 되도록 P1을 조정한다.
(5) 전원을 차단한다. P1+R1과 C1을 측정한다. 이 값들은 출력주파수
공식이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다.
출력주파수 공식을 이용한 이론값
=

실제 측정된 값 : P1 = 6.821 k R1 =0.987 k C1 =0.0047 uF
=
....

[hwp/pdf]통신공학 실험 -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