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RFC 표준문서 조사

RFC 표준문서 조사

▧ RFC [ Request for Comments ] 란

RFC(Request for Comments) 문서는 비평을 기다리는 문서라는 의미로, 컴퓨터 네트워크 공학 등에서 인터넷 기술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연구, 혁신, 기법 등을 아우르는 메모를 나타낸다.

인터넷 협회(Internet Society)에서 기술자 및 컴퓨터 과학자들은 RFC 메모의 형태로 생각을 출판하게 되며, 이러한 출판의 목적은 자신의 새로운 생각 및 정보에 대해 전문가 비평을 바라는 것, 혹은 그러한 생각을 단순히 전달하는 것이다. 때로는 공학적인 유머를 위해서이기도 하다(만우절 RFC를 참조하기 바란다). 인터넷국제표준화기구(IETF)는 일부 RFC를 인터넷 표준으로 받아들이기도 한다.

RFC 편집자는 매 RFC 문서에 일련 번호를 부여한다. 일단 일련 번호를 부여 받고 출판되면, RFC는 절대 폐지되거나 수정되지 않는다. 만약 어떤 RFC 문서가 수정이 필요하다면, 저자는 수정된 문서를 다른 RFC 문서로 다시 출판해야 한다. 그러므로 일부 RFC는 이전 버전의 RFC를 개선한 문서이며, 이전 버전의 RFC를 무효화하기도 한다. 이러한 덮어쓰는 방식을 통해, 번호 순으로 나열된 일련의 RFC는 인터넷 표준의 역사를 나타내기도 한다.

▧ RFC 표준문서의 방식

누구나 인터넷에 관한 기술적 문서를 작성하려면 RFC를 관리하는 IETF(세계 최대 인터넷 표준단체)에 보낼 수 있으며 IETF는 이를 검토하여 RFC로 등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지지를 크게 얻게 되면 IETF에서 만드는 인터넷 표준으로 정립될 수 있다. 각각의 RFC 문서는 번호가 매겨져 있고 한 번 출판된 RFC 문서는 수정 될 수 없고, 수정을 하는 경우 새로운 RFC 문서로 출판되어 번호가 매겨진다.
2005년 1월 기준 문서의 총 수는 4300여개에 이르고 있다.

▧ RFC 기원과 역사

....

[hwp/pdf]RFC 표준문서 조사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