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포인트는 운영자가 올린글을 검토후 지급됩니다. 검토요청이 누적된 상황에서는 포인트 지급에 상당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부생리학] 안정막 전위에서 활동전위로 가는 기전

☆ 안정막 전위에서 활동전위로 가는 기전

막전위 membrane potential
신경과 근육의 활동은 세포막의 전기생리학적 특징 때문에 가능해진다. 특히 이중에서도 막전위 membrane potential의 변화가 신경, 근육 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막전위는 크게 안정막전위 resting membrane potential와 활동전위 action potential로 나눌 수 있다. 활동전위는 신경과 근육의 세포막에서만 관찰되는 현상이다. 우리의 신체 중에서 흥분할 수 있는 조직 excitable tissue은 근육과 신경뿐이기 때문이다.

1) 막전위의 발생
막전위는 세포막을 경계로 세포 안과 세포 밖의 전기적 성질을 띠고 있는 이온의 농도차이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세포막 밖은 Na+, Cl-, HCO3- 등이 많고, 세포 안은 K+, 단백음이온 등의 농도가 높다. 대부분의 음이온들은 세포막의 투과성이 매우 낮아서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다. 반면에 K+은 투과성이 매우 높아 Na+의 투과성의 약 100배에 이른다. 이와 같은 세포막 안팎의 이온농동 차이와 세포막의 선택적 막투과성으로 인해 막전위가 발생한다.

2) 안정막전위와 활동전위
(1) 안정막전위 resting membrane potential
....

[hwp/pdf][해부생리학] 안정막 전위에서 활동전위로 가는 기전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