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포인트는 운영자가 올린글을 검토후 지급됩니다. 검토요청이 누적된 상황에서는 포인트 지급에 상당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왜 오뚜기 식품안전 직무를 지원했나요
식품안전 직무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나요
식품안전과 품질관리(QC)의 차이를 설명해보세요
식품안전과 품질관리(QC)의 차이
식품안전 : 원료·설비·공정·환경위생 등 전체 위해 요인을 예방적으로 관리
식품안전에서 규정은 절대 양보할 수 없는 기준입니다.
어떤 식품안전 전문가로 성장하고 싶은가
인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기준 기반으로 식품안전을 지키는 인재입니다.

품질/식품안전 업무가 힘들 때 본인은 어떻게 지속하나요
저는 식품안전 직무가 단순히 품질검사를 넘어 "원료-공정-설비-위생-포장-물류"까지 전체 제품생명주기를 책임지는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학에서 식품미생물학·식품위생학·공정관리 등을 공부하며 안전기준이 생산성과 직결되는 것을 배웠고, 실제 실험에서 오염 사례를 분석하며 작은 실수가 전체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 체감 한 경험이 있습니다.
식품안전은 HACCP·GMP·식품위생법 등 안전규정을 기반으로 원료부터 최종 제품까지 위해요
QC가 생산된 제품의 품질을 검사하는 역할이라면, 식품안전은 "문제가 발생하기 전 예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역할"에 더 가깝습니다.
식품안전과 품질관리(QC)의 차이
QC : 생산된 제품·공정의 품질을 검사하고 불량 여부를 판정
식품안전 : 원료·설비·공정·환경위생 등 전체 위해 요인을 예방적으로 관리
CCP(중요관리점 설정
CCP 설정 시 중요한 요소
소를 실제로 감소·제거할 수 있는지, 공정변수(온도·시간·pH 등)가 명확히 관리 가능한지, 한계기준을 과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지가 핵심입니다.
공정·설비·작업자의 사소한 위생 미준수로도 오염이 발생할 수 있고, 공장 전체로 확산될 위험이 있어 예방적 관리가 중요합니다.
ATP 측정, 환경미생물 테스트, 설비 세척 유효성 검사, 이물검사 등을 가장 중요한 지표로 봅니다.
식품안전에서 규정은 절대 양보할 수 없는 기준입니다.
경험의 양보다 중요한 것은 기준이해와 분석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생산팀의 어려움을 이해하면서도, 기준을 낮출 수는 없습니다.
인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기준 기반으로 식품안전을 지키는 인재입니다.

[hwp/pdf][오뚜기] 식품안전(2025년 하반기 대졸신입) 면접자료, 면접족보, 면접질문기출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