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포인트는 운영자가 올린글을 검토후 지급됩니다. 검토요청이 누적된 상황에서는 포인트 지급에 상당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질병, 낙인무균사회와 한센인의 강제격리, 2021. 김재형, 돌베개,
도서명 : 『 질병, 낙인 : 무균 사회와 한센인의 강제 격리』
김재형의 『 질병, 낙인 : 무균사회와 한센인의 강제격리』는 바로 이러한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고 있다.
김재형의 『 질병, 낙인』은 한센인의 삶과 고통을 단순한 의학적 차원이 아닌, 사회적 배제와 국가정책, 그리고 문화적 상상력의 맥락에서 분석한다.
책은 크게 세 가지 축―① 질병에 대한 사회적 낙인의 역사, ②국가권력에 의한 강제격리 정책, ③ '무균사회'라는 환상과 그 비판―으로 전개된다.
저자는 한국 사회의 '무균사회(cleansociety) '추구가 한센인의 강제 격리 정책을 정당화했다고 분석한다.
이 책은 한센병 환자들의 강제 격리와 사회적 배제를 통해, 질병을 둘러싼 사회적 권력, 문화적 담론, 그리고 낙인의 구조를 날카롭게 분석한 연구다.
김재형.(2021).『질병, 낙인 : 무균사회와 한센인의 강제격리』.서울 : 돌베개.

질병, 낙인무균사회와 한센인의 강제격리, 2021. 김재형, 돌베개,
도서명 : 『 질병, 낙인 : 무균 사회와 한센인의 강제 격리』
김재형의 『 질병, 낙인 : 무균사회와 한센인의 강제격리』는 바로 이러한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고 있다.
김재형의 『 질병, 낙인』은 한센인의 삶과 고통을 단순한 의학적 차원이 아닌, 사회적 배제와 국가정책, 그리고 문화적 상상력의 맥락에서 분석한다.
책은 크게 세 가지 축―① 질병에 대한 사회적 낙인의 역사, ②국가권력에 의한 강제격리 정책, ③ '무균사회'라는 환상과 그 비판―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센병은 단순한 질환이 아니라 '부정(不淨)'과 동일시되며, 사회적·종교적 낙인의 대상이 되었다.
국가의 강제 격리 정책과 인권침해
요약하면, 『질병, 낙인』은 ① 사회적 낙인의 역사, ② 강제 격리라는 국가권력의 폭력성, ③무균사회 환상의 위험성, ④한센인의 삶과 저항을 차례로 보여주며, 질병을 단순한 의학적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정치적 맥락 속에서 이해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 책에서 가장 깊은 울림을 준 부분은 소록도 수용소의 역사적 기록과 환자들의 일상을 다룬 대목이었다.
저자는 소록도가 단순한 치료 공간이 아니라, 국가권력에 의해 통제되고 억압된 "사회적 격리의 섬"이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또한 인상 깊었던 대목은 저자가 '무균사회'라는 개념을 통해 한국 사회의 집단적 심리를 설명하는 부분이다.
저자는 풍부한 사료와 제도적 분석을 통해 한센인의 강제 격리 역사를 잘 정리했지만, 실제 환자 당사자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은 구술사나 사례 서술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이를 통해 한국의 무균사회 논리가 세계적 차원의 위생 담론, 제국주의의학, 근대국가의 통제방식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더 풍부하게 드러낼 수 있 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질병과 낙인을 단순히 사회적 담론으로만 분석하는 것이 과연 충분한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되었다.
저자가 제시한 구조적 분석과 사회학적 틀에 더해, 의료적 차원에서의 환자 경험, 정신적 트라우마, 세대 간 전승된 상처에 대한 심리사회적 연구가 결합되었다면 책의 메시지가 훨씬 더 입체적이 되었을 것이다.
요약하면, 『질병, 낙인』은 분명 탁월한 분석을 제공하는 책이지만, ① 환자 개인의 목소리 부족, ② '무균사회' 개념의 과도한 일반화, ③국제비교의 결핍, ④ 현대사회와의 연결 부족, ⑤ 저항과 연대 서술의 한계, ⑥ 의료·심리적 차원의 결여라는 한계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 아쉬움들조차도 독자로 하여금 새로운 질문을 던지게 만들었고, 이는 책이 가진 학술적 가치와 사회적 의미를 더욱 확장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질병, 낙인』은 단순히 한센병이라는 특정 질환의 역사를 다루는 책이 아니다.
이 책은 한센병 환자들의 강제 격리와 사회적 배제를 통해, 질병을 둘러싼 사회적 권력, 문화적 담론, 그리고 낙인의 구조를 날카롭게 분석한 연구다.
국가인권위원회.(2005).『소록도 한센인 인권 실태조사보고서』.서울: 국가인권위원회.

[hwp/pdf]질병 낙인 무균사회와 한센인의 강제격리7p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