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포인트는 운영자가 올린글을 검토후 지급됩니다. 검토요청이 누적된 상황에서는 포인트 지급에 상당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재형 외 저자들은 이 책에서 일제강점기부터 현대 한국사회에 이르기까지 우생학이 어떤 방식으로 이식되고 재생산되었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특정 집단을 "적격"과 "부적격"으로 나누며 사회적 배제와 차별을 정당화했는지를 분석한다.
따라서 『우리 안의 우생학』은 단순히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복원하는데 그치지 않고, 오늘날 한국 사회가 안고 있는 차별과 배제의 구조를 성찰하게 만든다.
한국 사회의 우생학적 제도와 정책
책은 나로 하여금 일상 속에서 재생산되는 우생학적 사고를 돌아보게 만들었고, 그것이 얼마나 깊이 사회에 내재되어 있는지를 자각하게 했다.
이 책은 한국 사회 우생학의 역사를 폭넓게 다루지만, 몇 가지 아쉬움도 남는다.
오늘날의 우생학적 사고가 어떻게 디지털 사회 속에서 재생산되는지에 대한 탐구가 아쉽다.
강성호.(2017).「근대 한국에서의 우생학 담론과 국가정책」.『역사와 사회』, 115, 35-68.

김재형 외 저자들은 이 책에서 일제강점기부터 현대 한국사회에 이르기까지 우생학이 어떤 방식으로 이식되고 재생산되었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특정 집단을 "적격"과 "부적격"으로 나누며 사회적 배제와 차별을 정당화했는지를 분석한다.
따라서 『우리 안의 우생학』은 단순히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복원하는데 그치지 않고, 오늘날 한국 사회가 안고 있는 차별과 배제의 구조를 성찰하게 만든다.
결국 나는 이 책을 통해, 우생학이 특정 시기 특정 집단의 잘못된 실천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사고방식 속에 스며든 사회적 구조임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책의 내용을 본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생학은 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왜곡한 프랜시스 골턴(Francis Galton)에 의해 제창되었다.
오늘날의 우생학적 사고와 차별
나에게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저자가 우생학을 단순히 과거의 역사적 사건으로만 보지 않고, 지금 이사회의 일상적인 차별과 연결시킨 시각이었다.
예를 들어, 장애 태아 낙태 논란이나, 유전자 편집 기술을 둘러싼 윤리적 논의, 그리고 입시·취업 과정에서 외모와 능력에 따라 사람을 평가하는 현실은, 우리가 여전히 '적격'과 '부적격'을 구분하는 사고 속에 살고 있음을 보여준다.
책은 나로 하여금 일상 속에서 재생산되는 우생학적 사고를 돌아보게 만들었고, 그것이 얼마나 깊이 사회에 내재되어 있는지를 자각하게 했다.
소록도의 한센인, 정신질환자의 강제입원, 장애인 정책의 차별적 측면을 다루었지만, 당사자의 구술자료나 개인의 삶을 세밀히 보여주는 부분은 부족했다.
이 책이 미래 사회에 대한 전망까지 제시했더라면, 오늘날 독자에게 더 직접적인 울림을 주었을 것이다.
우리 안의 우생학』은 한국 사회의 근현대사를 관통하며, 우생학이 단순히 과거 서구에서 벌어진 과오가 아니라 우리 내부의 제도와 사고 속에 깊숙이 뿌리내려 있었음을 낱낱이 보여준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우생학이 단지 과거의 어두운 그림자에 머무르지 않고 지금도 다른 형태로 재생산되고 있다는 점에 큰 문제의식을 느꼈다.
김재형 외.(2024).『우리 안의 우생학 : 적격과 부적격, 그 차별과 배제의 역사』. 서울 : 돌베개.
김재형.(2021).『질병, 낙인 : 무균사회와 한센인의 강제격리』.서울 : 돌베개.
박형신.(2017).『한국근대보건의료사』.서울: 역사비평사.

[hwp/pdf]우리 안의 우생학 적격과 부적격 그 차별과 배제의 역사 6p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